본문내용
1. 아동간호실습일지
1.1. 피내주사
피내주사는 표피 바로 아래 피부의 진피층에 0.1mL의 아주 적은 양의 약물을 투여하는 주사법이다. 주로 알레르기 검사나 투베르쿨린 반응검사에 이용된다. 피내주사의 주사부위는 아래팔의 내측면, 흉곽상부, 견갑골 부위이다. 투베르쿨린 반응검사는 주로 왼쪽 팔에 하고 다른 검사는 오른쪽 팔을 이용한다. 약 10~15°각도로 주사하며, 투베르쿨린 반응검사는 48~72시간 이후에, 알레르기 검사는 15~30분 이후에 평가한다. 약물 반응 검사 상의 수포의 직경은 5mm이고, 정해진 시간 이후에 팽진이 10mm 이상, 발적이 15mm 이상은 양성이며, 이는 과민반응을 의미한다. 팽진이 5~9mm는 위양성으로 재검사가 필요하고, 팽진 5mm는 음성으로 약물 투여가 가능하다. 결핵반응검사에서 양성은 결핵균에 노출된 적이 있음을, 위양성은 재검사와 재판단이 필요함을, 음성은 결핵균에 노출된 적이 없음을 뜻한다. 실습에서는 신환의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항생제를 희석하여 피내로 주사하고 15분 후 팽진과 발적 반응을 확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1.2.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은 체온(body temperature: BT), 맥박(pulse : P), 호흡(respiratory :R), 혈압 (blood pressure :BP)를 의미하며 신체 내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활력징후는 기온, 육체적 활동, 질병, 약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므로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평상 시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수술 전·후, 순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투여 전·후, 대상자가 증상을 호소할 때 주로 측정한다.
나이별 활력징후의 정상 범위는 다음과 같다. 영아나 3세 미만 아동의 경우 심첨맥박을 측정한다. 심박동 리듬이 불규칙할 수 있으므로 1분 동안 전체 박동 수를 세어야 한다. 아동의 호흡수는 성인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나, 영아의 경우 복식호흡을 하므로 복부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1분 전체 호흡 수를 측정한다. 체온은 시상하부에서 경동맥을 통과하는 혈류의 온도가 심부체온을 잘 반영하므로, 구강, 직장, 액와, 외이도 등 다양한 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다. 직장체온이 37~37.5℃가 정상 범위이며, 영아의 경우 환경과 측정 목적을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측정해야 한다. 만 3세 이하의 아동은 혈압을 측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시 성인과는 다른 주의사항과 절차가 필요하므로, 아동에 특화된 간호역량이 중요하다. 정확한 사정을 통해 아동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1.3. 정맥 수액 주입
정맥 투약(intravenous medication)은 정맥으로 대상자의 혈류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므로 빠른 효과를 원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대상자의 연령, 주입되는 시간, 주입되는 용액, 정맥의 상태에 따라 정맥천자부위는 다양한데, 성인의 경우 팔과 손에 있는 정맥이 흔히 사용된다. 유아는 두피와 발등 정맥이 종종 사용된다.
수액용기는 50,100,250,500,10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