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협심증 급성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협심증의 개념과 정의
1.2. 협심증의 발병 원인 및 위험요인
1.3. 협심증의 증상 및 진단
2. 본론
2.1. 협심증의 유형
2.2. 협심증 진단을 위한 검사
2.3. 협심증의 약물 치료
2.4. 협심증의 중재적 시술 및 수술적 치료
2.5. 협심증 환자의 간호중재
2.6. 협심증 예방과 관리
3. 결론
3.1. 협심증 치료와 예후
3.2. 협심증 환자의 건강관리 전략
3.3. 협심증 관리를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협심증의 개념과 정의
협심증은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과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증상이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로 인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며, 주로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심장에 산소 요구량이 증가할 때 나타난다. 협심증 환자는 가슴이 조이거나 답답한 느낌, 숨이 차는 증상을 경험하며, 팔이나 등 쪽으로 통증이 방사되기도 한다. 협심증은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안정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허혈로 인한 심근의 일시적 산소 부족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1.2. 협심증의 발병 원인 및 위험요인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성 변화로 인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관상동맥 질환의 주된 원인은 고령,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흡연, 비만 등의 위험요인이다. 고령은 동맥경화 진행을 촉진하는데, 연령이 증가할수록 협심증 발병률이 높아진다. 고지혈증은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어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고혈압은 혈관 내피세포 기능을 손상시켜 협심증의 위험을 높인다. 당뇨병은 혈관 벽 손상과 혈전 생성을 증가시키므로 협심증 발병의 주요 원인이다. 흡연은 혈관 내피기능을 손상시키고 염증 반응을 일으켜 동맥경화 진행을 가속화한다. 비만, 스트레스, 운동부족 등도 협심증 발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협심증의 발병 원인은 다양한 생활 습관 및 건강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위험요인을 개선하고 관리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1.3. 협심증의 증상 및 진단
협심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마치 가슴이 좁아진 듯한 기분이 들며 조이고 뻐근한 느낌, 혹은 쥐어짜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다. 이 흉통은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어깨나 목, 턱, 팔 혹은 등으로 퍼져나가는 느낌(방사통)이 들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오심, 피로, 숨이 찬 느낌, 발한, 어지러움이 동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통, 소화불량, 더부룩한 느낌이 있을 수 있는데 가슴통증이 아니기 때문에 심장문제라고 간과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협심증의 특징은 안정 시에는 통증이 없다가 심장 근육에 많은 산소가 필요한 상황, 즉 운동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경우, 차가운 날씨에 노출되는 경우, 흥분한 경우에 통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지속 시간은 심근경색증과 달리 대개 5~10분 미만이며, 안정을 취하면 통증이 없어진다. 그러나 관상동맥의 협착정도가 아주 심해지거나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는 경우에는 안정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고, 통증의 지속 시간도 길어질 수 있다. 이는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은 매우 위급한 상황이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협심증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함께 심전도 검사, 운동부하검사, 심초음파, 흉부 엑스레이, 혈액검사 등 다양한 검사로 이루어진다. 증상에 따라 관상동맥조영술, 컴퓨터단층촬영(CT), 핵영상스캔 등의 추가 검사도 시행될 수 있다.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경우 비전형적인 양상의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슴 통증이 지속된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협심증은 급성 심근경색증과는 달리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투여하면 통증이 호전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흉통을 호소하면서 갑작스런 실신이나 심장마비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대부분 급성으로 광범위한 부위에 걸쳐서 심근 허혈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2. 본론
2.1. 협심증의 유형
협심증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안정형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만성적으로 협착이 된 경우에 생기는 협심증이다. 이 경우 주로 운동, 정서적 스트레스 등으로 심장의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안정을 취하면 곧 호전되는 특징이 있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기존의 동맥경화 병변이 갑자기 악화되거나 혈전이 생겨 급격하게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증상이 발생하거나 기...
참고 자료
박정숙 외 (2017), 성인간호학1, 엘스비어 코리아
최명희 외 (2017), Adult Health Nursing, Pacific Book
전국 간호대학교수 편 (2011), for nurse REVIEW BOOK, 의학서원
방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협심증 [angina pector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5&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운동 부하 심전도 [運動負荷心電圖, exercise(tolrance)test]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민중서관)
변영섭(2002), “협심증 치료의 최신 지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이은정(2010), “위험한 심혈관 질환 협심증”,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이철환(2011), “노인에서의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대한임상노인과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협심증 [angina pector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15&cid=51007&categoryId=51007
대한심장학회, 협심증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1117799&memberNo=38360564&vType=VERTICAL
삼성서울병원, 질환과 영양, 협심증 심근경색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18c12&CONT_SRC=CMS&CONT_ID=2658&CONT_CLS_CD=00102000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협심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Identity/search.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