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제왕절개 수술은 산모와 태아의 생명과 건강을 보전하기 위해 복부를 통해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제왕절개 수술이 위험도가 높아 전체 분만 중 10% 미만으로 이루어졌으나, 현대 의학의 발달로 인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이 2017년 기준 45%에 달하며, 해마다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이 일반화되면서 그에 대한 간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제왕절개 분만은 기존의 자연분만과는 다른 절차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맞는 전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이해와 간호 지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OO산부인과 입원실 102호에 입원하신 37세 김OO 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간은 대상자가 수술한 1월 13일부터 20일까지였다. 문헌고찰과 대상자 관찰, 환자 차트, 간호 기록지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간호진단을 내리고 진단에 맞는 적절한 간호목표를 세워 수행하였다.
2. 본론
2.1.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및 원인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제왕절개 분만율이 35~40% 수준이며, 미국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은 25% 정도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주요 원인은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중증 임신 중독증, 태아 질식, 다태아 임신 등이다. 구체적으로 모체 요인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분만, 중증 심장병·고혈압성 질환·당뇨병·자궁경부암 등의 모체 질병, 중증 감염, 자궁수술 경험, 중증 임신 중독증, 고령 임산부나 장기 불임 등이 있다. 태아 요인으로는 태아 질식, 횡위·둔위·혼압위 등의 선진부 이상, 다태아 임신이 있으며, 태반 요인으로는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가 있다. 기타 요인으로는 분만 시간 지연, 파수 24시간 경과, 탯줄 이상, 자궁파열 위험 등이 있다.
2.2. 제왕절개 분만의 병태생리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의 기본목적은 모성과 태아의 생명이나 건강을 보전하는 것이며, 산모나 태아의 합병증이 확실히 있는 경우에는 분만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현대적인 외과수술과 간호의 발달로 모성와 태아의 사망률과 이환율이 감소되기는 하지만 아직도 위험률은 질분만에 비해 2배 이상이다. 미국에서 4명 중 1명이 제왕절개분만을 하고 있으므로 가장 흔한 수술이라고 볼 수 있다. 수술분만의 증가 이유는 태아 모니터의 사용이 빈번해짐으로써 태아곤란증의 발견이 증가하고 초산연령의 증가, 반복제왕절개, 둔위와 자연분만 시 질분만을 피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