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학용어의 종류와 정의
1.1. 신경계 의학용어
신경계 관련 의학용어에는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 신경계 질환과 손상, 신경계 진단 검사 및 시술 등이 포함된다. 먼저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를 살펴보면 agnosia는 인지불능, akinesia는 운동불능, alertness는 기민하고 의식이 명료한 상태, aphasia는 실어증, apraxia는 실행증, ataxia는 운동실조증, atrophy는 위축이 있다. 다음으로 신경계 질환 및 손상에는 Alzheimer's disease(알츠하이머 질환),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Bell's palsy(안면신경마비), brain abscess(뇌농양), brain death(뇌사), brain edema(뇌부종), cerebral angiography(뇌혈관 조영술), cerebral concussion(뇌진탕), cerebral contusion(뇌좌상), cerebrovascular accident(CVA, 뇌졸중), chorea(무도병), coma(혼수), concussion(진탕), confusion(착란), contusion(좌상, 타박상), convulsion(경련), dementia(치매), diffuse axonal injury(DAI, 미만성 축삭손상), dizziness(현기증), drowsy(기면), dysarthria(눌어증), dyskinesia(운동장애), dysphagia(연하곤란), dysreflexia(반사기능장애), dystonia(근긱장이상), encephalitis(뇌염), encephalomyelitis(뇌척수염), epidural hematoma(EDH, 경막외 혈종), epilepsy(간질), glioma(신경교종), Guillain-Barre syndrome(다발성 신경염 증후군), hemiparesis(편측부전마비), hemiplegia(편마비, 반신불수), 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HNP, 추간판핵 탈출증), hydrocephalus(수두증), hyperalgesia(통각과민), hyperesthesia(감각과민), intracerebral hemorrhage(ICH, 뇌실질 내 출혈), intracranial pressure(ICP, 두개내압), laminectomy(척추후궁절제술), level of consciousness(LOC, 의식수준), lumbar puncture(LP, 요추천자), meningioma(수막종), meningitis(수막염), meningoencephalitis(수막뇌염), migraine(편두통), motor aphasia(운동성 실어증), multiple sclerosis(다발성 경화증), muscular dystrophy(근이영양증), myasthenia gravis(중증 근무력증), myelitis(척수염), neuralgia(신경통), neurogenic bladder(신경인성 방광), neurogenic bowel(신경인성 장),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NPH, 정상뇌압 수두증), nystagmus(안구진탕증), palsy(중풍), paralysis(마비), paraparesis(불완전 대마비/불완전 하반신 마비), paraplegia(하지 대마비), paresis(불완전 마비), Parkinson's disease(파킨슨씨병), petit mal seizure(소발작), pneumocephalus(기뇌증), quadriplegia(사지마비), rigidity(경축), seizure(간질발작), semicoma(반혼수), sensory aphasia(감각성 실어증), spinal stenosis(척추협착증), stereotaxic(두정위술), stroke(뇌졸중), stupor(혼미), subarachnoid hematoma(지주막하 혈종), subarachnoid hemorrhage(SAH, 지주막하 출혈), subdural hematoma(SDH, 경막하 혈종), syncope(실신, 기절), transient ischemic attack(TIA, 일과성 뇌허혈 발작), traumatic brain injury(TBI, 외상성 뇌손상), tremor(진전), trigeminal neuralgia(삼차신경통), unconsciousness(무의식), vagotomy(미주신경섬유 절제술), vegetable state(식물상태), ventriculoperitoneal shunt(VP shunt, 뇌실복막강 단락술), vertigo(현기증, 현훈), weakness(허약)가 있다. 마지막으로 신경계 진단 검사 및 시술에는 burr hole(천두술), cerebrospinal fluids(CSF, 뇌척수액), electroencephalography(EEG, 뇌파검사), electromyography(EMG, 근전도 검사), intracranial pressure(ICP, 두개내압 모니터링) 등이 포함된다.
1.2. 근골격계 의학용어
근골격계는 인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이다. 근골격계 의학용어는 이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구조, 질환,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근골격계의 해부학적 구조에는 뼈, 관절, 근육, 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움직임과 지지 기능을 수행하며, 각 용어는 해당 구조를 정확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femur는 대퇴골, clavicle은 쇄골, diarthrosis는 가동관절을 의미한다.
근골격계 질환 및 손상에는 관절염, 골절, 탈구, 인대 및 근육 손상 등이 포함된다. 관절염은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osteoarthritis와 rheumatoid arthritis가 대표적이다. 골절에는 단순골절, 개방성 골절, 분쇄 골절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염좌는 인대의 비정상적 주행이나 신연을 의미하는 sprain에 해당한다.
근골격계 진단 및 치료 방법에는 영상검사, 근전도 검사,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 X-ray, MRI, CT 등의 영상검사를 통해 구조 및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근전도 검사(EMG)는 근육과 신경의 기능을 평가한다.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 절제술, 관절경 수술, 골절 정복 및 내고정술 등이 있다.
이처럼 근골격계 의학용어는 이 시스템의 다양한 측면을 정확히 기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명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3. 비뇨기계 의학용어
비뇨기계 의학용어
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의학용어가 있다. 먼저 비뇨기계의 해부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신장은 요소 및 기타 대사 폐기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며 요관은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