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론 다문화 가족 자녀들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
3.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3.1.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 문제
3.2. 교육 격차와 학습 부진
3.3. 또래 관계와 집단 따돌림
3.4. 경제적 어려움
4. 다문화가족 자녀 문제의 해결방안
4.1. 부모 대상 언어교육 지원
4.2. 자녀 대상 언어 및 학습 지원
4.3. 지역사회와 학교의 다문화 이해 제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다문화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우리나라는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4.4%를 차지하는 다양한 인종이 함께 살아가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다문화사회란 일반적으로 한 사회에서 공존하고 있는 외국인이 증가하여 다양한 인종적 사회현상 혹은 이주민의 증가로 인한 문화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화의 혼합양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문화사회는 외국인 근로자의 인력난 해결과 농어촌 지역 사회에 새로운 활력 불어넣기도 하지만, 문화 간의 충돌, 이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 일자리 경쟁 등으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고 이주민 대책 등에 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2. 다문화가족의 정의와 현황
다문화가족이란 서로 다른 국적 또는 인종이나 문화를 지닌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는 가족을 의미한다. 그동안 시대별로 다문화가족의 모습이 변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이주화 현상 속에서 다문화가족의 증대는 필연적 현상이다. 그러나 현재 많은 다문화가족들은 경제적 빈곤, 사회적 부적응, 민족 및 인종 차별, 국제결혼 자녀의 차별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여기에 다문화가족 자녀는 서로 다른 민족 또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 속에서 태어난 자녀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기준으로 다문화혼인 건수는 22,472건으로 전체 혼인 건수의 7.4%를 차지하고 있으며, 귀화자 혼인도 2012년 9.6%에서 2015년 14.6%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국가 간 인적교류의 확대 등으로 인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2022년 226만 명을 돌파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문화가족 자녀 또한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3.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성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3.1.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 문제
다음은 3.1.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 문제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은 서로 다른 국적 또는 인종,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어 이로 인한 언어 및 문화적 차이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먼저 언어 문제의 경우, 국제결혼한 이주여성 자신들도 한국어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자녀들의 언어 발달을 위한...
참고 자료
한부모 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이성희 저, 가족복지론, 2021, 창지사
다문화가족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와 학생의 수용성 연구, 조혜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박세정(2009), 다문화가족 지원대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