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nicu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NICU 간호진단
2.1.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 손상 위험성
2.2. 광선치료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3. 신생아 황달
3.1. 정의
3.2. 원인
3.3. 병태생리
3.4. 치료
3.5. 광선요법 시 간호
4. 실습후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신생아 중환자실(NICU)은 미숙아를 비롯한 고위험 신생아를 집중적으로 간호하는 곳이다. 이들 신생아는 미성숙한 생리기능으로 인해 다양한 건강문제에 노출되어 있기에 신중하고 전문적인 간호가 요구된다. 그중 대표적인 건강문제가 바로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 손상과 체액부족의 위험성, 그리고 신생아 황달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NICU 간호사의 입장에서 이러한 간호진단들을 살펴보고, 신생아 황달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치료 및 광선요법 간호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위험 신생아의 특성과 건강문제를 이해하고, 이들을 간호하는 NICU 간호사의 전문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생아의 안전과 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NICU 간호진단
2.1.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 손상 위험성
광선요법은 신생아 황달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부적절한 광선요법 적용은 신생아에게 다양한 신체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첫째, 광선요법 시 신생아의 망막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광선은 신생아의 망막에 도달하여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선요법 시 신생아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차광안대를 착용시켜야 한다.
둘째, 광선요법은 신생아의 생식기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광선에 의한 국소 피부의 혈관 확장과 피부 탈수로 인한 것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신생아의 전신을 최대한 노출시키고, 기저귀 착용 시 생식기 부위만 가리도록 한다.
셋째, 광선요법 중 신생아의 체온이 상승할 수 있다. 이는 광선에 의한 피부 혈관 확장으로 인한 것이다. 체온 상승은 신생아에게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생아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체온 조절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처럼 광선요법은 신생아의 눈, 피부, 체온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생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2.2. 광선치료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미숙아의 경우 피부가 얇고 투과성이 높아 광선요법 시 불감성 수분...
참고 자료
김미예 외 공저, 신생아간호학, 수문사, 2014.
서울대학교병원 저,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5.
홍창의 저,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2008.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아동간호학 지침서 & 워크북 이인혜 (현문사) 2012년
최신 아동간호학 1 홍경자 외 (수문사) 2012년/성인간호 권경남 (엘스비어) 2013
박호란외 공저,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수문사,2021
장윤실, 미숙아의 영양관리 ,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1 No. 4, 2011 246
서울 아산병원, 검사/시술, 수술정보,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83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main.asp
널싱스킬(https://www.els-nursingskills.kr/)
장지영,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관련요인 분석, 서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2005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main/mainPage/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