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직정보탐색 및 기업분석
1.1. Holland 이론의 문화적 적합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우리 사회는 청년 실업률이 증가하며,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져 노년기 취업 및 구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로교육이나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는데, 진로상담 영역에서 활발하게 도입되는 이론 중 하나가 Holland의 진로상담이론이다.
Holland의 진로상담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에 바탕을 두고, 진로 결정에 있어 개인과 환경의 특성을 알고 두 영역을 매칭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는 개인의 특성을 개인의 흥미에 따라 여섯 가지로 구분하고, 환경 역시 여섯가지로 구분하여 이를 매칭 하는 육각형 모델을 제안한다.
우리나라에서 진로상담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론에 대한 경험적 이론들이 발표되고 있다. 국내 학술 논문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Holland의 진로상담이론을 선행연구 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직업흥미의 구조와 흥미와 직업행동과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한 아홉 편의 논문과 Holland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한 두 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접 적용이 가능한 부분과 상담에서 적용하는 데에 주의해야 할 점을 정리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고등학교의 계열별, 대학 전공별 흥미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일치하는 흥미유형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보았을 때 여섯 가지 직업 흥미의 존재에 관련된 연구들은 각 흥미 유형의 사람들이 독특한 능력과 가치를 갖는다는 점에 동의한다. 흥미가 진로선택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하지만 직업만족도와 일치하는지는 않는다. 직업 만족도는 객관적 흥미보다 개인의 자아개념을 정해진 진로에서 얼마나 발휘할 수 있느냐에 더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Holland의 흥미 구조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진행된 우리나라의 연구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