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액체의 물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목적
1.2. 물성의 정의와 중요성
2. 이론적 배경
2.1. 유체의 특성
2.2. 점도의 개념과 측정
2.3. 뉴턴 점성 법칙
2.4. 하겐-푸아죄유 식
2.5. 오스트발트 점도계법
3. 실험 재료 및 방법
3.1. 실험 기구 및 시약
3.2. 실험 절차
4. 결과 및 고찰
4.1. 농도에 따른 밀도 변화
4.2. 농도에 따른 점도 변화
4.3. 밀도와 점도의 상관관계
5. 결론
5.1. 실험 결과 요약
5.2. 실험 오차 분석 및 개선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적
Ostwald 점도계법을 이용하여 액체의 물성을 측정하고 점도와 밀도에 미치는 농도의 영향을 규명한다.
물성이란 물질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물리적 성질을 의미한다. 밀도, 점도, 녹는점, 끓는점 등 다양한 물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물질의 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설계 시 원료의 물성에 따라 공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물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물과 Ethylene glycol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각 용액의 밀도와 상대점도를 측정하였다. 농도가 높은 Ethylene glycol 용액일수록 밀도와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농도에 따른 밀도 변화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농도에 따른 점도 변화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밀도와 점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역시 지수함수적 개형을 보였다.
실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도가 높아질수록 용액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은 Ethylene glycol의 분자량이 물보다 크기 때문이다. 둘째, 농도가 높아질수록 용액의 점도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Ethylene glycol의 점성이 물보다 크기 때문이다. 셋째, 밀도와 점도의 상관관계가 지수함수적인 것은 앞의 두 결과에 기인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몇 가지 오차 요인이 발견되었다. 피펫 사용 시 점도가 높은 Ethylene glycol이 벽면에 잔류하는 문제, 실험자에 따른 점도계 사용법의 차이, 기준 물질인 물의 물성 데이터 부족 등이 그것이다. 향후 이러한 오차 요인을 개선하여 보다 정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1.2. 물성의 정의와 중요성
물성이란 물리적 특성이나 성질을 의미하며, 모든 물질은 각자의 고유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물성은 물질의 고유한 성질로서 동일한 조건하에서 일정한 물성을 보인다. 즉, 외부 환경의 변화가 없다면 언제나 일정한 성질을 보인다. 물성에는 밀도, 점도, 녹는점, 끓는점, 전도율, 열전도율, 열용량, 결정성, 색, 자기적 성질, 빛의 흡수 스펙트럼 등 많은 성질이 있다. 이러한 물성들을 이용하면 물질이 순물질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정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물성의 이해와 측정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화학공학 분야에서는 공정 설계, 제품 개발, 품질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물성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활용되므로 물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요구된다.
2. 이론적 배경
2.1. 유체의 특성
유체는 외부의 힘이나 응력(Shear stress)에 의해 변형되고 유동성이 있는 물질이다. 액체, 기체, 플라즈마 등이 유체에 해당한다. 유체는 외부 응력에 저항하는 성질인 점성을 가지고 있으며, 초유체와 같이 특수한 경우에는 점성이 없다. 유체는 고체와는 다르게 치밀성과 강성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아주 작은 전단응력이 가해져도 연속적으로 변형된다.
유체는 점성에 따라 점성유체(뉴턴유체)와 비점성유체(비뉴턴유체)로 분류된다. 점성유체는 점도가 일정하고, 유체의 흐름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가진다. 뉴턴의 점성법칙을 따르며 물, 공기 등이 뉴턴유체에 해당한다. 비점성 유체는 점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하는 유체이며, 뉴턴의 점성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비뉴턴유체에는 꿀, 초콜릿 등 고분자 화합물이 있다.
또한 유체는 압축성에 따라 압축성 유체와 비압축성유체로 분류된다. 압축성 유체는 유체에 압력을 주거나 유체가 초음속이 되는 경우 체적이 감소하거나 밀도 변화가 일어나는 유체이다. 주로 기체가 해당된다. 비압축성 유체는 일반적인 물이나 기름처럼 압력이나 유속의 변화에 따라 체적이 변하지 않는 유체이다. 주로 액체가 해당된다. 따라서 밀도의 변화를 무시할 수 있는 유체이다. 사실 뉴턴 유체와 비압축성 유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유체이지만, 이론적인 정립을 위해 있다고 가정한다.
2.2. 점도의 개념과 측정
점도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내부저항으로 간주되며, ...
참고 자료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년 3학년 1학기 실험노트’, 2018년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년 3학년 1학기 세미나PPT’, 2018년
전정현, ‘2018년 3학년 1학기 Reynolds Number 예비레포트 (점도)’
Yunus A. cengel 외 1명, 2005년, “유체역학”, Mc Graw-Hill Korea, 220~221P
강치호 외 2명, “Reynolds 방정식과 Hagen-Poiseuille 방정식의 연상해석을 통한 재순환홀을 갖는 유체동압배어링의 해석”,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지, 2014년
MSDS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년 3학년 1학기 실험노트 수정본’, 2018년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2018년 3학년 1학기 세미나PPT’, 2018년
전정현, ‘2018년 3학년 1학기 액체의 물성 예비레포트 (점도)’
http://liquid-transfer.com (물의 특성표 Figure 9.)
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정보 MSDS
James O. Wilkes, Fluid Mechanics for Chemical Engineers, 사이플러스, p.19-34
최슬우 외 3명, Correlation between Crack Width and Water Flow of Cracked Mortar Specimens Measured by Constant Water Head Permeability Tes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 Vol. 29, No. 3, p.267-273
화학대사전 4, 2001, “김창홍 외 5명”, 도서출판 세화, p.656, p.823-824
이화학 대사전, 1996, “이화학 대사전 편찬위원회”, 집문사, p.1098
김경호 (2010). 《수리학》. 한티미디어. p.398
이재수 (2018). 《수문학》 2판. 구미서관. p.221
김경호 (2010). 《수리학》 1판. 한티미디어. p.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