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고령사회도래에 다른 독거노인 긍정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초고령사회도래와 독거노인 문제
1.2. 독거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
2. 본론
2.1. 독거노인 현황 및 자살 실태
2.2.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 개요
2.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효과성
2.4.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한계와 과제
3. 결론
3.1. 독거노인 지원 서비스 강화 방안
3.2.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
3.3. 독거노인 맞춤형 정책 마련의 중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초고령사회도래와 독거노인 문제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지 18년만인 2018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OECD 국가 연령 표준화 자살률 비교 시 OECD 평균 10.9명에 비해, 한국은 23.5명(2020년 기준)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나타내고 있다. OECD 25개국의 평균 노인자살률(65세 이상)을 보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치로 아직 가장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한국 내에서도 노인일수록 자살률이 높았는데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을 비교해봤더니 자살률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80세 이상(67.4명)이 가장 높았다. 이는 노인들의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2020년 우리나라 독거노인은 7.9%로 혼자 사는 독거노인은 열악한 환경에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기에 정서적인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우울증 관리가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독거노인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OECD 국가 중 한국의 노인자살률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을 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80세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이 자살을 생각하는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이다. 자살을 생각해본 적 있는 65세 이상 노인의 27.7%가 생활비 문제를 꼽았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불안과 사회적 고립감 증가로 자살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요 위험대상자는 독거노인으로 생각된다. 2020년 우리나라 독거노인은 7.9%에 달하며, 열악한 환경에서 고독한 삶을 살아가기에 정서적 문제를 가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우울증 관리가 사회적 차원에서 중요하다.
이에 지역사회 보건사업으로 복지관과 연계한 '독거노인 친구 만들기' 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사업은 독거노인의 고독사 및 자살 예방, 우울증 경감을 위한 상호 돌봄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독거노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고자 한다.
2. 본론
2.1. 독거노인 현황 및 자살 실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지 18년 만인 2018년에 고령사회에 도달하였으며,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OECD 국가 연령 표준화 자살률 비교 시 OECD 평균 10.9명에 비해 한국은 23.5명(2020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더불어 OECD 25개국의 평균 노인자살률(65세 이상)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감소하고 있으나 한국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도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살률이 증가하여 80세 이상(67.4명)의 자살률이 가장 높다. 이처럼 급속...
참고 자료
김유진(2018).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 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38(4): 1149-1171
김현미. (2017). 독거노인 사회적 관계 활성화 방안 “독거노인친구만들기 사업”.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3), 215-215.
엄태영, 김유진(2015). 2015년 독거노인친구만들기사업 효과성 평가연구, 독거노인종합지원센 터 보고서, 23-85.
임종린. (2016). 우울형 여성독거노인의 참여활동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독거노인친구만들기 프로그램 체험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1(4), 9-33.
박찬형 (2019,09.29) 한국 노인 OECD 최고 자살률. 노인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은? KBS뉴 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292513
보건복지부 (2021) 2021자살예방백서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2021) 2021년 2분기 「코로나19국민정신건강실태조사」 http://www.mohw.go.kr
이기홍(2019.10.18)고양이일산서구보건소,‘독거노인친구만들기’사업운영.시민일보. https://siminilbo.co.kr
통계청 (2020) 독거노인가구비율(시도/시/군/구)
통계청 (2019) 국제통계연감 : 10만명당 주요사망원인별 사망률(OECD)
보건복지부(2021), 2021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서울:보건복지부
이민홍 외 3명(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제공 현황 진단 및 품질 제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용호(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40권, 4호, 599-616페이지
이종옥(2018), 한국 노인돌봄서비스의 문제와 개선방안,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위논문, 90페이지
전용호(2018),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권, 4호, 10-39페이지
염지혜(2019), 노인 가구의 변화와 돌봄 서비스, 한국장기요양학회, 7권, 1호, 71-89페이지
2022, 09, 03), OECD 최악의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 1위 [안창현의 돋보기], 한국면세뉴스
https://www.kd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660
권혁남. (2012). 고령화 시대 노인자살에 관한 윤리적 분석. 생명윤리, 12(2), 1-20.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1773663&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원동욱, (2022, 11, 19), [준비 안된 ‘노인공화국’] 노인 빈곤, 자살률 OECD 1위, “늙으면 빨리 죽어야지”...농담이 현실이 된 사회], 중앙선데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881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0788&cid=58345&categoryId=58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