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흡인성 폐렴은 식도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넘어가 발생하는 감염성 폐렴이다. 주로 의식수준이 저하된 환자와 연하장애 환자에게 발생하며, 원인 균주로는 구강 내 세균, 그람음성 간균 등이 있다. 호흡곤란,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흉부 X선 촬영, 객담 배양 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를 위해 항생제 투여, 기도청결 등의 간호 중재가 이루어진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흡인성 폐렴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흡인성 폐렴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진단검사, 치료, 간호중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흡인성 폐렴의 정의
흡인성 폐렴은 병원성 세균이 집락된 위 내의 분비물, 구강 내의 분비물이 식도가 아닌 기관지를 통해 폐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노년층 폐렴 환자의 20~30%를 차지한다. 음식물, 침, 이물질 등의 병원균이 기도로 들어가서 폐염증성 반응을 발생시키며,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이 폐 속에 그대로 남아 폐의 광범위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폐렴보다 중증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의식상태 저하로 기침·후두개 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호발하며, 위험요인으로는 식도암, 뇌졸중, 파킨슨병 등 연하장애가 있는 경우와 노인, 치매, 알코올 섭취, 약물중독 등 의식저하가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 기회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다.
흡인성 폐렴은 폐의 의존부위에 주로 나타나며, 청진 시 수포음이 들릴 수 있다. 흉부 X선 검사에서 하엽 또는 상엽의 후분절 등 의존부위에 염증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구강 내 혐기성균, 녹농균, 대장균 등의 그람 음성 간균이 원인균이다.
따라서 흡인성 폐렴은 의식저하로 인한 기도 방어기전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중증 폐렴의 한 유형으로, 환자의 의식수준과 기저 질환을 고려해 예방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2.2. 흡인성 폐렴의 원인
흡인성 폐렴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환자의 입안이나 위 내에 있는 병원균이 기도로 흡인되어 발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정상인의 경우 폐의 방어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어 흡인이 되더라도 폐렴이 잘 생기지 않지만,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심각한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의식수준 저하로 인해 구개반사나 기침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발생빈도가 높다. 뇌졸중, 파킨슨병 등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 고령의 노인, 치매 환자, 알코올 섭취자, 약물중독자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또한 기도 삽관이나 수술 후 상태에서도 흡인이 잘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염증반응으로 폐렴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 감염 등과 같은 요인들도 흡인성 폐렴의 위험요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호흡기 방어기능이 손상되거나 약화된 상태에서 병원균이 기도로 유입되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2.3. 흡인성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한다. 세균이 침입한 후 폐의 침습 정도는 숙주의 방어력에 달려있다. 면역이 저하된 사람에서 세균이 급속히 번식한다. 세균이 증식하여 농양을 만들고 이 농양이 기관지 벽을 관통하면 조직괴사가 일어난다.
폐렴의 병태생리는 크게 4단계로 나뉜다. 첫째, 발병초기-폐울혈기(1~2일)에는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모세혈관 울혈, 폐포 내 액체성 삼출물과 세균, 백혈구가 증가한다. 둘째, 적색간변기-조기 경화시기(2~4일)에는 폐엽에 붉은 과립과 섬유소가 생성되며 늑막표면에 섬유소가 부착되어 늑막 삼출물이 생긴다. 셋째, 회색간변기-진행 경화기(4~8일)에는 회백색의 과립이 보이며 폐엽이 더욱 경화되고 폐포 내 삼출물이 화농화된다. 늑막 표면의 섬유소도 증가한다. 넷째, 용해기(8~9일)에는 세균이 제거되고 염증과정이 완화되어 폐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이처럼 폐렴의 병태생리는 초기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에서 점차 폐실질의 경화와 폐포 내 삼출물의 화농화가 진행되다가, 마지막에는 세균 제거와 함께 염증 완화로 나아가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숙주의 방어력이 저하되면 세균이 급속히 증식하여 폐 손상이 심각해질 수 있다.
2.4. 흡인성 폐렴의 증상과 징후
전형적인 증상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발열, 화농성 객담을 동반한 기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