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응급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이 다수 방문하는 곳으로, 업무량이 상당하다. 응급실 간호사는 생리적, 심리사회문화적, 정신적, 영적 측면의 상급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다학제적 협동을 해야 한다. 교육, 상담, 의뢰 등의 독자적 업무부터, 의사 처방에 따른 간호, 타 보건의료인과의 협동에 의한 활동 등 그 범위가 넓다. 응급실 간호사는 상급의 지식을 기초로 환자를 분류하고, 중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자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이들이 환자안전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2. 응급실 환자 안전의 중요성
2.1. 응급실 환경의 특성과 위험 요인
응급실은 부서의 특수성으로 인해 환자안전에 위협을 많이 받는다. 응급실 간호사는 기본적으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보호자에게 설명과 동의를, 그리고 환자 검사 및 이동을 위해 다른 직원들과 접촉해야 하는 등 업무량 과다와 잦은 전화응대, 서류작성 등의 가호업무가 많다. 그래서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직접간호의 시간은 줄어들고, 의료의 질은 저하되고,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그로 인해 응급실의 의료 과오율은 병원 내에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의료 과오 발생률 및 환자안전 문제
응급실은 부서의 특수성으로 인해 환자안전에 많은 위협을 받는다. 특히 응급실 간호사는 기본적으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보호자에게 설명과 동의를, 그리고 환자 검사 및 이동을 위해 다른 직원들과 접촉해야 하는 등 업무량이 과다하고 잦은 전화응대, 서류작성 등의 가호업무가 많다. 그로 인해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직접간호의 시간은 줄어들고, 의료의 질은 저하되며, 환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응급실의 의료 과오율은 병원 내에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응급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다. 그리고 응급실에서의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안전에 대한 문제를 가장 먼저 파악하게 되므로 오류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여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2.3.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과 환자안전 관리
응급실은 다양한 유형의 많은 환자들이 방문하는 곳이며, 중증도도 높아 업무량이 상당하다. 응급실 간호사는 생리적, 심리사회문화적, 정신적, 영적 측면의 상급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다학제적 협동을 해야한다. 교육, 상담, 의뢰 등의 독자적 업무부터, 의사에 처방에 따른 간호, 타 보건의료인과의 협동에 의한 활동 등 그 범위가 넓다. 상급의 지식을 기초로 응급환자를 분류하고, 중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사용 가능한 자원을 통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간호업무범주에 따른 순위별 비율을 보면 '의사소통(21.43%)', '환자기록관리(21.13%)', '환자에 대한 관찰 및 사정(20.56%)' 순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