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외교정책]중국의 대 한반도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5.11.01
최종 저작일
1997.01
8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6,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레포트 및 논문 작성시 많은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여러 자료를 이용하여 짜임새 있게 논리적으로 잘된 글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 외교정책결정 구조와 과정
1. 외교정책결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
2. 중국의 외교정책결정요인에 관한 이론적 논의
3. 중국 외교정책결정구조의 변화
4.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

제3장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중국의 외교정책
1. 중-미 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외교정책
2. 중-일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외교정책
3. 중․러관계의 변화와 중국의 외교정책

제4장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변화 과정
1.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과정
2. 중국의 대 한국정책 전개과정
3.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제5장 중국의 국력변화와 21세기 한․중관계
1. 중국은 과연 강한 국가인가: ‘중국위협론’의 평가
2. 중국 국력의 강약에 따른 한반도 영향 평가
3. 한국에게 유리한 중국

제6장 결론 : 향후 한․중관계와 한국의 대응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논문의 목적은 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을 중국의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변화의 과정을 살펴보면서 중국의 국력변화에 따른 21세기 한중관계를 분석하여 이에 따른 바람직한 한·중관계를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중국과 미국은 냉전시기 대립과 갈등의 관계를 유지하다가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과 1979년부터의 공식적인 중․미 외교관계 수립, 그리고 이것을 계기로 한 등소평의 개혁개방정책으로의 정책전환을 통하여 갈등보다는 협력이 중시되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양국은 각국의 국익 증대를 위하여 갈등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경제성장을 위한 중국의 절박한 요구는 양국간에 협력요인을 증대시킴으로써 중국이 동아시아 정책을 중국 중심이 아닌 미국과의 협력관계 속에서 유지하고 있다.
중․일관계는 냉전시기 평화우호조약 시기와 개혁․개방의 초기 시기에는 협력적 관계를 중시하였으나, 1996년 4월 미국과 일본이 신안보공동선언과 1997년의 미․일신방위협력지침(일명 ‘가이드 라인’)이 발표되고, 명목상의 북한 견제용 TMD 체제가 실질적으로 중국을 견제하고 대만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로 인식되면서 양국관계는 갈등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
중․러관계는 냉전시기 협력에서 적대관계로 진행되었던 것이 등소평의 개혁․개방 정책과 국제질서의 변화, 그리고 구소련의 적극적인 대중 親和정책으로 양국관계는 화해 단계를 넘어 긴밀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대러시아 친화정책은 미국과 일본관계를 조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지렛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국에게는 상당히 필요하고도 중요한 대외정책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냉전시기 북한 일변도의 정책에서 벗어나 한․중수교 이후 ‘두 개의 한국’ 정책을 유지하다가, 최근에는 한반도 ‘이중분할정책’을 통하여 중국의 실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참고 자료

강근형, “미국의 대한반도정책”,『제주대東아시아硏究論叢』11 (2000.12)
길버트 로즈만, “동북아시아 4강의 양국관계”,『極東問題』263 (2001.1)
김기정, “21세기 동북아 안보환경의 전략적 조망 : 냉전구조의 해체인가, 신냉전의 시작인가?”, ꡔ국방부 군비통제관리실 1999년도 군비통제세미나 자료집ꡕ(99.10.19)
김성한,『美․中․日 三角關係와 韓半島』(外交安保硏究院, 2000)
김승채, “중국과 남북한, 그리고 한반도 통일”,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김영진,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제주대東아시아硏究論叢』11 (2000.12)
김용대, “轉換期 中國의 對韓半島政策과 北韓改革의 變化 推移”,『中國學硏究』 19(2000.12)
로스 H. 먼로, “미․일․중 3국간의 전략적 관계 변화”,『極東問題』267 (2001.5)
박두복,『중국의 對한반도 정책의 新추세와 한․중관계 발전 방향』(外交安保硏究院, 2001)
박인휘, “중국와 동북아 국제관계: 중국의 대외정책분석과 지정학적 특성”, ꡔ중소연구ꡕ, 통권 89호, (한양대중소문제연구소, 2001)
서만경, “한반도 주변 4국의 대한반도정책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 통일안보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서진영, “새로운 동북아 국제질서와 중국: 강택민시대 중국의 대외정책과 한반도문제를 중심으로” 서진영 외, 『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서진영, “부강한 신중국의 등장과 한반도”, 서진영․이내영 공편, ꡔ변혁기의 세계질서와 동아시아ꡕ, (서울: 오름, 2001)
신상진, "미국의 NMD체제 구축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대응," ꡔ국제문제ꡕ, 통권363호, (2000. 11월)
신상진, “21세기 중국의 동북아정책: 환경, 목표, 수행능력 분석과 전망”, ꡔ중소연구ꡕ 통권 89호, (한양대 중소연구소, 2001)
신정화, “21세기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北韓』350 (2001.2)
沈志華, “중국의 한국전쟁 참정결정에 대한 평가: 50년 후 한국전쟁 역사에 대한 고착과 회고”, ꡔ신아세아ꡕ, 제7권 제2호, (2000년 가을),
양길현, “21세기 한중관계의 기회요인과 제약요인 분석”, ꡔ中蘇硏究ꡕ제24권 4호(2001.2)
오심백,『미국 신행정부의 중국정책과 미중관계』 동아일보 창간81주년기념/한ㆍ중ㆍ일 국제학술회의(발표문) (2001)
용재식, “1980~90년대 중국의 대 한반도 정책연구”, 한남대 행정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12
이근․한동훈, 『중국의 기업과 경제』(서울: 20세기북스, 2000)
이남주, “중국 외교전략의 변화와 한반도 외교”,『통일로』150 (2001.2)
이내영, “탈냉전시대의 미국의 세계전략”, 서진영․이내영 공편, ꡔ변혁기의 세계질서와 동아시아ꡕ, (서울: 오름, 2001)
이동률, “탈냉전기 중국의 동남아외교 : 전략과 목표“, ꡔ中蘇硏究ꡕ24권 3호(2000.11)
이동휘,『21세기 주변 4강의 전략적 이해와 우리의 대응』(外交安保硏究院, 2000)
이상우, “21세기 신아세아질서와 일본의 역할”, ꡔ신아세아ꡕ제3권제1호, (1996, 봄),
이상우․ 하영선 편 , 『현대 국제정치학』, (나남출판, 2001).
이태환, “중국의 대북정책”, 정은숙 편, ꡔ미․중․일․러의 대북정책: 주변 4강 2000ꡕ, (성남: 세종연구소, 2001)
임계순, “中國의 對韓半島 政策, 1949-1992”,『中國史硏究』13 (2001.5)
정상용, “미․일관계 강화와 한반도 기상도”,『국방저널』332 (2001.8)
정은숙, ꡔ미․중․일․러의 대북정책 : 주변4강 2000ꡕ, (세종연구소, 2001)
정재호 편, ꡔ중국정치연구론ꡕ, (나남출판, 2000).
조용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北韓』350 (2001.2)
趙全勝, 중국의 외교정책 “미시․거시연계접근분석” 김태완역 (오름 2001, 1996초판)
조정남, “아시아의 패권질서와 중일관계”,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최춘흠,『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전망 : 외교․안보 분야 중심으로』(통일연구원, 2000)
황병무, “중-러 화해의 진전과 한계”, 서진영 편, ꡔ중국의 대외관계: 동북아 신질서와 중국ꡕ,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0)
황병무,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반도”,『지성의 현장』10권 2호 (2000.7)

謝益顯 主編, ꡔ中國: 當代外交史 1949-1995ꡕ, (北京: 中國靑年出版社, 2000)
謝益顯 主編, ꡔ中國外交史: 中華人民共和國時期(1949-1979)ꡕ, (河南: 河南人民出版社, 1998)
宋成有․姜芹․王蕾,『中韓關係史 : 現代卷』(社會科學文獻出版社, 1995)
夏 海, ꡔ中國政府架構ꡕ, (北京: 淸華大學出版社, 2001),
許志嘉, “鄧小平主政下參與中共外交政策之黨 政組織探討”, ꡔ中國大陸硏究ꡕ], 第41券 5期(1998.5)
小島朋之, ꡔ現代中國の政治: その理論と實踐ꡕ, (東京: 慶應義塾大學出版會, 1999)

A. Doak Barnett, The Making of Foreign Polcy in China: Structure and Process, (Boulder: Westview, 1985)
Alastair I. Johnston, "China`s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Behavior 1949-1992: A First Cut at the Data," in China Quarterly 153 (March 1998)
Avery Goldstein, "The Diplomatic Face of China`s Grand Strategy: A Rising Power`s Emerging Choice." CQ 168 (December 2001), 835-864
David Shambaugh, "Facing Reality in China Policy," FOREIGN AFFAIRS January/February 2001,pp. 50-64.
Hans J. Morgenthau,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New York: Alfred A. Knopf, 1948), 이호재 역, ꡔ현대국제정치론ꡕ, (법문사, 1989)
Samual S. Kim, "The Future of China and Sino-ROK Relations," The Future of China Northeast Asia(Seoul : The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of Kyungnam University, 1997)
Samuel S. Kim, ed, China and the World: Chinese Foreign Policy Faces the New Millennium: Fourth Edition (Westview Press, 1998)
Yong Deng, 「The China Concenption of National Intere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hian Quarterley, Number 154, June 1998,
*성*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소개
대학교, 대학원 재학중 과제 및 보고서, 논문 등을 등록하였고요
현재 사이버대학 교수 역임, 사회복지 관련 연구원 근무중입니다.
전문분야
자기소개서, 경영/경제, 사회과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 한반도 정책(국제관계의 이해 기말고사) 9페이지
    중국 정책 2.2.3. 기후 변화 정책 2.2.4. ... 바이든은 이를 비난하며 방안으로 새로운 정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미국과 중국 간의 ‘딜레마’ 2.3.2. 한국의 응 2.3.3.
  • 한글파일 동북아 국제관계 상황속에서 한국이 지향해야 할 정책 7페이지
    이에 따라 한국정부는 2010년 중반부터 시작하여 점차 미중 경쟁으로 인해 ... 한국은 전략 환경의 변화를 인식하면서도 미중경쟁에 한 체계적인 응을 계속 ... 한미동맹을 강화하면, 중국한반도에서 자신의 이익이 침해당한다고 보고,
  • 한글파일 바이든 미국 통령의 국제외교정책한반도 외교정책의 방향0k 10페이지
    바이든 미국통령의 국제외교정책한반도 외교정책의 방향0k Ⅰ. ... 트럼프의 중국 강경정책은 일방주의적인 중국 때리기에서 최근에는 점차 진영화되는 ... 바이든 시를 맞는 한국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위한 고려사항으로는 미중
  • 파워포인트파일 4강 한반도 정책,정책 성향,민국 정책,통일외교,정책 및 통일전략,북한의 전략변화,북한 핵 문제,남북관계 수준 35페이지
    중국 한반도 정책적으로 독자적인 한반도 정책 ( 북한과 오랜 혈맹국가 ... : 한 - 미 동맹을 통한 안보문제 타개 중국 : 한국 입장 불만에 따른 ... 강구 한 - 미 동맹 對 북 - 중 동맹 구도의 변화 필요 중국 : 한국
  • 파워포인트파일 2017년 한반도 안보정세 전망과 방안 레포트(발표자료) 20페이지
    20** 년 한반도 안보정세 전망과 방안 - 북핵문제를 중심으로 - 00 ... 첨예하게 치함에 따라 우리 외교안보 국익 보호를 위한 강외교 ... 북핵정책 이행방안 정책적 고려사항 20 - 2 2017 년 한반도 안보정세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외교정책]중국의 대 한반도정책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