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건축사] 통일신라 월지궁의 배치형태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4.01.14
최종 저작일
2004.01
13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안압지는 월지다.
월지는 동아시아 입체지도다.
월지는 고구려,백제장인이 만들었다.

목차

I . 서 논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대상과 방법 및 범위
3. 연구의 구성

II . 월지궁의 명칭과 시대적 배경
1. 명칭
1.1 월지 및 월지궁
1.2 태자궁
1.3 임해전
2. 시대적 배경
2.1 신라왕경의 기원과 성장
2.1.1 신라의 건국과 왕경
2.1.2 통일이전 신라의 성장과 왕경
2.1.3 통일신라 왕경 도시공간구조
2.2 월지궁 축조를 전후한 신라의 시대적 상황
2.3 삼국사기에서의 월지궁 관련 기록 고찰

III. 월지궁의 사상적 의미 해석
1. 불교사상
1.1 신라의 불교수용과 발전
1.2 월지궁과 불교사상
2. 도교사상
2.1 삼도와 신선사상
2.2 가산과 무산십이봉
3.1 풍류사상
3.2 일월사상
3.3 성산성수 3.3.1 성산과 월지궁
3.3.2 성수와 월지궁
3.4 용신신앙

IV. 궁궐과 궁원의 형태적 유형
1. 궁궐건축으로서 월지궁의 의미
1.1 궁궐배치형태의 유형
2. 궁원으로서 월지의 의미
2.1 한국 궁원 역사
2.2 한국 정원 형태 유형
2.2.1 수공간의 유무
2.2.2 지의 형태
2.2.3 월지의 형태에 관한 고찰

V. 통일신라 월지궁의 분석
1. 축의 분석
1.1. 왕권의 상징축
1.2 월지의 축
2. 척의 분석
2.1 월지궁의 척
2.2 월지 호안의 척
2.3 월지궁 석조 유구의 척
3. 시각적 경관의 분석
3.1 신라인의 눈높이 분석
3.2 월지에 투영되는 달
3.3 월지에서 바라본 황룡사구층목탑과 주변 산들의 경관
3.4 월지 내의 경관

VI.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월지궁 전경 사진
부록 2. 한국 정원 못(지)의 조사대상 및 형태별·구성별 정리 부록 3.1 월지궁 북반부 발굴평면도

본문내용

안압지는 월지다.
본 논문에서는 월지궁을 시공간적 배경으로 살피고, 그 공간에 혼재(混在)된 여러 사상을 하나씩 살펴 그 적용 여부를 논하며, 실질적으로 대지 위에 표현된 배치구성의 수법을 밝히고자 한다.
논문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월지궁에서 나타나는 형이상학적 의도와 축조 당시와 이후에 그 공간에 스며든 사상들을 정리하여 밝힌다.
둘째, 발굴된 건물지(建物址)의 형태를 궁궐건축의 형식으로서 살펴 고찰하고 궁원(宮苑)인 월지(月池)의 형태를 한국 정원의 형태상 분류 작업을 선행한 뒤에 한국 정원사(庭苑史)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특성을 밝힌다.
셋째, 월지궁에 나타난 축의 개념과 특성을 정의한다.
넷째, 월지궁에 적용된 척도를 밝혀 통일기에 건설을 주도한 인물의 출신을 살피고, 밝혀진 기본척도에 의해 전체 계획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규명한다.
다섯째, 월지궁의 건물지에서 바라보았을 때, 월지 수면에 투영된 달의 모습을 재현하고, 주변 여러 산과 황룡사구층목탑, 그리고 월지의 가산(家山)들이 이루는 경관을 재현하여 축조의도에 경관에 대한 시각적인 고려가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밝힌다.

참고 자료

『三國史記』.
『三國遺事』.
『日本書紀』.
閔周冕 等纂,『東京雜記』.
『大東史綱』, 金光 諞, 大東史綱社, 1929.
文化財管理局, 『雁鴨池發掘調査報告書』, 1978.
金興坤,『韓國 古建築의 意匠에 關한 硏究:三國時代-高麗時代』, 中央大 博論, 1978.
박경자,『統一新羅時代 雁鴨池의 造景樣式에 關한 硏究』, 서울大環境大 碩論, 1979.
金庚大,『新羅王京 都市計劃 原型探索과 保存體系設定 硏究』, 서울大 博論, 1997.
白旻錫,『建築設計에 있어서 CONTEXT 側面에서의 軸과 그 活用에 關한 硏 究』, 漢陽大 碩論, 1997.
趙由典,『新羅黃龍寺伽藍에 관한 硏究』, 東亞大 博論, 1987.
李基東,『新羅王京에 대한 考察]』, 東國大 碩論, 1987.
一然, 이민수 譯,『三國遺事』, 을유문화사, 1994.
尹張燮,『韓國建築史』, 東明社, 1998, p.103.
張慶浩, 『韓國의 傳統建築』, 文藝出版社, 1992.
金東賢, 韓國의 宮闕建築, 『建築士』, 1984년 1월.
김일성종합대학,『대성산의 고구려유적』, 1973.
鄭朣旿,『東洋造景文化史』, 全南大學校 出版部, 1990.
고경희,『안압지』, 대원사, 1989.
이강근,『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金奉烈,『韓國의 建築(傳統建築編)』, 空間社, 1994.
안휘준,『옛 궁궐 그림』, 대원사, 1997.
정재훈,『한국의 옛 조경』, 대원사, 1990.
반영환,『한국의 성곽』, 대원사, 1991.
김동욱,『한국건축의 역사』, 技文堂, 1997.
張慶浩,『百濟寺刹建築』, 藝耕産業社, 1990.
尹定燮,『都市計劃史槪論』, 文運堂, 1987.
田治六郞, 朝鮮庭園に見る方池と基の起源に就いて,『造園雜誌』, 1935.
Weber, Max,『The Religion of China』, Trnaslated by Hans H. Gerth, New York : The Free Press, 1951.
William Blackwell, 鄭義容譯,『建築과 幾何學』, 技文堂, 1988.
Francis D. K. Ching, 전감 譯,『 Architecture:Form, Space & Order』, 국제출 판사, 1988.
Le Corbusier, 장성수 譯,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태림문화사, p.163.
李基白, 古代 韓國에서의 王權과 佛敎,『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李基白, 新羅 淨土思想의 起源,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李基白, 黃龍寺와 그 創建,『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金鉉埈,『사찰, 그 속에 짓든 의미』, 敎保文庫, 1991.
李基白, 新羅 淨土信仰의 두 類型 ,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劉敦楨,『中國古代建築史』, 韓東洙 共譯, 世進社, 1995.
盧思愼 等著,『東國輿地勝覽』, 成宗年間(1469-1494).
李丙燾,『古代韓國社會와 그 文化』, p.31.
韓國哲學會, 統一新羅時代의 風流思想,『韓國哲學史-上卷』, 東明社, 1987.
韓國哲學會, 花郞道의 風流思想,『韓國哲學史-上卷』, 東明社, 1987.
文暻鉉, 新羅人의 山岳 崇拜와 山神,『新羅思想의 再照明』第 十二輯, 新羅文化 宣揚會.
具美來,『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font color=aaaaff>..</font>
*동*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워포인트파일 [건축]조경학 -동양사례 (한국의안압지) 10페이지
    여기에서 월지궁이 곧 태자궁이 고 이궁이 바로 674년에 못을 만들고 679년에 ... 안압지의 조영으로 인하여 통일신라의 조영문화는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발돋움할 ... 월지였음이 분명하다 .따라서 안압지 라는 명칭 은 신라 가 망한 수 백년이
  • 한글파일 동양조경사 - 안압지의 모든것 9페이지
    이 곳이 신라시대 월지라고 불리웠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본래이름도 월지궁이었음이 ... 월지궁이었다고 한다. 1975년 경주고적발굴조사단에 의한 발굴이 있었는데 ... 스님은 “신라 시대 대부분의 건축물과 공간 구성 요소 조영은 불교 장엄기법이
  • 한글파일 [한국건축사] 한국건축사- 경주를 다녀와서 6페이지
    황룡사 하면 생각나는 것은 한국 최대의 목조탑파 건축이었던 황룡사 9층 목탑은 ... 월지궁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한국 건축과 미학의 원형이 형성되기 시작한 최초의 예이다.
  • 한글파일 [관광개발]문화재를 통한 관광상품개발 (전통호텔업) 4페이지
    아니면 조그마한 신라의 박물관 형태도 좋은 것 같다. 5. ... 별궁들을 복원하여 호텔로 사용해 한국의 궁에서 숙식을 할 수 있는 매력을 ... 안압지와 주변의 건축지들은 당시 궁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건축사] 통일신라 월지궁의 배치형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