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와 관련해 인도의 문화.
저작시기 2008.11
한글 (hwp) 11페이지 가격 1,500원
등록일 2008.11.30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특이한 문화를 간직한 인도,그러한 인도를 조금 더 알고 싶으시다면 힌두교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이 글은 인도의 문화를 힌두교라는 종교를 바탕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 글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Ⅱ. 본론
1. 힌두교란?
2. 힌두교의 정(淨)․부정(不淨)의 개념
3.. 힌두교와 카스트 제도
4.. 힌두교와 인도인의 삶
Ⅲ. 나오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인도는 인구는 10억4000만(2003년 기준)으로 세계2위의 인구 대국이다. 현재 전 세계의 경제 위기 속에서 흔들리고 있지만 신흥 마켓의 하나로 세계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나라 중의 하나이다. 또, 인도는 세계 3대 종교 중의 하나로 꼽히는 불교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따라서 많은 한국인들은 인도와 종교를 연관 지어 생각했을 때, 불교를 떠올린다. 그런데 인도 인구의 80%가량은 불교가 아니라 힌두교 신자이다. 인도에서 불교는 그 위세를 떨치지 못하고 그만 힌두교로 편입되고 말았다. 또한 힌두교는 그 역사가 인도 고대의 브라만교에서 시작했을 만큼 매우 길다. 결국, 인도와 힌두교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 이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세계화와 도시화, 산업화의 바람으로 인도 문화도 변화의 추세 속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장구한 역사 속에서 인도인의 삶에 깊숙이 스며든 힌두교의 가르침은 여전히 인도인의 정신과 생활양식 등 문화 저변에 깊이 새겨져 있다. 더구나 인도와 그 주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힌두교가 전파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힌두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인도 문화를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을 추측할 수 있다.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꿈꾼다는 인도. 인도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인 ‘힌두교’를 집고 넘어가야 하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
본론...
1. 힌두교란 무엇인가?
비슈누와 그의 화신들
- 인도 자이푸르(19세기)
힌두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랜 종교의 하나이다. 특정한 교조나 교리, 중앙집권적 권위나 위계조직이 없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신앙형태가 융합되어 탄생했다. 따라서 힌두교는 간단히 정의 내리기가 매우 어렵다. 힌두교 안에는 원시적인 물신숭배·애니미즘·정령숭배로부터 주술·제식·다신교·일신교·고행주의·신비주의, 그리고 고도로 발달된 사변적 체계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형태의 종교가 발견된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검색어; 힌두교
참고 자료
∙ 박정석,『카스트를 넘어서』, 민속원, 2007∙ 고홍근, 최종찬, 『인도 바로 보기』, Nerno Books, 2006
∙ 문을식, 『인도의 사상과 문화』, 도서출판 여래, 2001
∙ 백좌흠, 이광수, 김경학, 『내가 알고 싶은 인도』, 한길사, 1997
∙ Singh, Sarina 지음, 이유경 역, 『론리 플래닛 - 인도』, 안그라픽스, 2003
∙ 전명윤 김영남, 『인도 네팔 100배 즐기기』, 랜덤하우스코리아, 2008
∙강래우, 『헬로 인도(세 번째 인도 그리고 첫사랑, Travel Library 02)』,에디터, 2007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두산백과사전
․ 네이버 뉴스 검색
판매자 정보

ilovone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