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태종의 국정체계 운영과정

*현*
최초 등록일
2008.11.05
최종 저작일
2008.11
2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태종의 국왕을 중심으로 한 국정체계의 운영과정에 대해 분석한 논문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공신과 외척세력의 제거
1. 공신세력의 제거
1) 이거이 이저세력의 제거
2) 이무의 제거
2. 외척세력의 제거
1) 민씨형제의 제거
2) 심온의 제거
Ⅲ. 사병혁파와 군권장악
1. 군권장악과 시위군의 강화
2. 군령기관의 개편
Ⅳ. 국왕중심 정치체제로의 정비
1. 의정부의 권한축소
2. 육조직계제의 정립
Ⅴ. 세자폐위와 양위
Ⅵ. 결 론

본문내용

우리나라 역대 임금 중 가장 ‘성군’으로 알려진 임금은 조선의 세종이다. 세종의 빛나는 업적에는 새 왕조의 기틀을 마련하고 초석을 다진 태종의 비중이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기에 태종이 실시한 여러 정책과 체제 정비의 과정을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정안군 이방원은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이다. 그는 고려말에 정몽주를 제거하고 이성계를 추대하는데 앞장서는 등 조선왕조 개창에 큰 공헌을 하였지만, 태조비 강씨와 정도전남은 등의 배척으로 개국 후의 정치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그후 강비는 태조 5년에 사거하고, 태조는 왕 7년 7월부터 8월까지 병중에 있었다. 이때를 기하여 이방원은 정도전 등의 독주에 불평을 품고 있던 개국공신을 규합하고 독자의 군사력을 이용하여 제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고, 정도전남은심효생 등을 제거하면서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어서 정종이 태조의 뒤를 이어 즉위하기는 하나 정종조에 실권을 장악한 것은 왕자의 난을 주도한 이방원과 그를 추종한 정사공신들이었다. 이방원은 정종 즉위년 9월로부터 겸판상서사사가 되어 하륜이거이조영무 등과 함께 국사를 처리하였고, 정종 2년 1월에 일어난 2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세자가 되면서 군국중사를 총관하였다. 또 정안군 이방원은 사병 및 도평의사사를 혁파하면서 왕권강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볼 때 태종은 즉위 초부터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태종은 쿠데타를 통하여 집권하고 즉위한 만큼 명분상 취약성을 탈피하지 못하였고, 이에서 이를 극복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다.
태종의 이러한 조선왕조의 개창 및 왕권강화와 관련되어 이를 다룬 많은 연구가 있었다. 왕자난의 발생원인과 성격, 개국·정사·좌명공신들의 사회적 배경과 경제적 혜택 등이 여러 관점에서 검토되었다.1 이방원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사병혁파와 이에 따른 군제개편이 연구되었다.2 태종정권의 성격에 관한 검토가 행해졌고,3 태종 왕위의 취약성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왕권강화책에 대해서도 연구되었다

참고 자료

정두희, 《朝鮮初期 政治支配勢力 硏究》, 일조각, 1983
민현구,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한국연구원, 1983
차문섭, 《朝鮮時代 軍制 硏究》, 단국대출판부, 1973
천관우, 《近世朝鮮史 硏究》, 일조각, 1979
최승희, 《朝鮮初期 言官言論 硏究》, 서울대출판부, 1975
김성준, 〈太宗의 外戚除去에 대하여〉,《역사학보》1718, 1963
박천식, 〈朝鮮建國의 政治勢力 硏究〉-개국공신 李和녹권을 중심으로-《전북사학》(전북대 8), 1984
이희관, 〈朝鮮初 太宗의 執權과 그 政權의 性格〉,《역사학보》120, 1988
정두희, 〈太祖-太宗代 三功臣의 政治的 性格〉,《역사학보》7576
한충희, 〈朝鮮初期 議政府 硏究〉上, 下《한국사연구》31, 1980
〈朝鮮初期의 六曹 硏究〉-제도의 성립과 관제기능을 중심으로-
《대구사학》2021
이와 관련된 연구로 다음과 같은 논문들이 있다. 이상백, 〈삼봉인물고〉,《진단학보》23. 민현구, 1935. 민현구,〈근세조선전기 군사제도의 성립〉,《한국군제사》조선전기편, 1968. 한영우,〈조선왕조의 정치경제기반〉1975, 1983,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을유문화사, 1975. 정두희,〈태조-태종대 삼공신의 정치적 성격〉,《역사학보》7576, 1977, 《조선초기정치지배세력연구》, 일조각, 1983.
민현구,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유창규, 〈태종대 군지휘체계의 변화와 집권층의 갈등〉,《박영석교수화갑기념논총》, 1992.
이희관, 〈조선초 태종의 집권과 그 정권의 성격〉,《역사학보》1988. p120
최승희, 〈태종조의 왕권과 정치운영체제〉,《진단학보》1987. p64
최승희, 〈조선건국초기 정치체제의 성립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한국사연구》1989. p67
한충희,〈조선초기 의정부 연구〉上下,《한국사연구》 1980. p31
김성준, 〈태종의 외척제거에 대하여〉,《역사학보》 1963. p18
정두희, 〈조선초기 삼공신 연구〉-그 사회적 배경과 정치적 역할을 중심으로-, 《역사학보》1977, p75 p76
한영우, 〈태종세종朝의 對私田策〉, 《한국사연구》 1969. p3
최승희, 〈태종대 왕권과 정치운영체제〉, 《국사관논총》1991, p30
박천식, 〈조선건국의 정치세력 연구〉-개국공신 李和녹권을 중심으로-, 《전북사학》1984. p8
김성준, 앞의글, p605
《태종실록》 권18, 태종 9년 10월 癸卯條
한충희, 〈조선초기 의흥삼군부 연구〉,《계명사학》5권, 1994, p48
민현구,《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한국연구원, 1983.
한우근, 〈여말선초 巡軍연구〉,《진단학보》 1961, p22
《태종실록》권2, 태종 1년 7월 甲戌條
김창수, 〈成重愛馬考〉,《동국사학》1966, p10
차문섭, 〈內禁衛에 대하여〉,《사학연구》1964, p18
천관우, 〈오위와 조선초기의 국방체제〉, 1964
《태종실록》권9, 태종 5년 正月 壬子條.
《태종실록》 권15, 태종 8년 2월 甲辰條
민현구, 앞의 책, p276, p277.
민현구, 앞의 책, p277, p280.
천관우, 《近世朝鮮史 硏究》, 일조각, 1979, p186
정두희, 〈太祖-太宗代 三功臣의 政治的 性格〉,《역사학보》p131
김성준, 〈太宗의 外戚除去에 대하여〉,《역사학보》1963, p105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전복
탑툰 이벤트
태종의 국정체계 운영과정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