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찬기파랑가 연구

*명*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8.10.22
최종 저작일
2007.04
3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 (배경설화 분석)
(1) 배경설화 원문 및 해설
(2) 수록
(3) 其意甚高(기의심고)한 詞腦歌(사뇌가)
(4) <안민가(安民歌)>와 같은 범주의 노래

5. 텍스트 확정
(1) 기존어석 제시
(2) 우리의 어석

6. 작품 분석
(1) 노래의 성격
(2) 작품 내적인 분석(문예학적 분석)

목차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 (배경설화 분석)
(1) 배경설화 원문 및 해설
(2) 수록
(3) 其意甚高(기의심고)한 詞腦歌(사뇌가)
(4) <안민가(安民歌)>와 같은 범주의 노래

5. 텍스트 확정
(1) 기존어석 제시
(2) 우리의 어석

6. 작품 분석
(1) 노래의 성격
(2) 작품 내적인 분석(문예학적 분석)

본문내용

<讚耆婆郞歌>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는 대개 ‘耆婆郞(기파랑)’이 누구인가 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그를 바탕으로 노래의 성격을 밝히는 방향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런데 서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삼국유사』에 나타난 찬기파랑가에 대한 해설이 극히 빈약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학자들마다 자신의 생각을 나름대로 전개해 나갔고, 그 결과 전혀 다른 많은 학설들이 난무하게 되었다. 이것을 정리하면, 크게 ‘서정시적 찬가’, ‘불교적 노래’, ‘보편적 상징성을 가지는 노래(상징론적 해석)’ 정도로 나눌 수 있겠다.


(1) 서정시적 찬가
우선, <찬기파랑가>를 기파랑을 찬양하는 서정시의 특성을 지닌 찬가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찬양의 대상이 되는 기파랑을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 정리해 볼 수 있다.
① 먼저, 양주동, 정열모, 홍기문, 김선기, 유창균 등은 기파랑을 신라에 실존했던 인물로 보았다. 양주동은 “耆婆郞이란 젊은 花郞長의 드높은 人格과 理想 志操를 그린 名歌”라고 극찬하면서 기파랑을 당시 화랑장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이 <찬기파랑가>를 신라의 실제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빼어난 인물됨을 찬양하기 위한 노래로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홍기문은 “耆婆郞의 인격을 막연히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일정한 행동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구체적인 내(川) 이름을 거론하며 그것과 결부하여 기파랑을 사모한다고 한 것을 그 증거로 들었다. 또 정열모는 노래의 중장을 통해서는 기파랑이 “산림처사로 이름이 높았던 사람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종장을 통해서는 “화랑 중에서 큰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결국 그는 이 노래가 耆婆郞을 “송백과 같은 눈도 서리도 능히 이겨내는 굳은 절개”를 가지고 있는 “으뜸가는 모범이라고 칭찬”하고 있는 노래로 본 것이다. 이들은 모두 기파랑을 일종의 화랑이나 산림거사 내지는 이에 준하는 고매한 인격을 지닌 인물로 보고, 그의 비범한 행동 내지는 성격적 특성을 기린 것으로 <찬기파랑가>를 보았던 것이다.
한편, 김선기와 유창균은 위의 학자들이 다소 막연하게 耆婆郞을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상당히 구체적인 인물로 기파랑을 정의 내리려 하였다. 김선기는 작가인 충담은 李純(이순)으로, 기파랑은 경덕왕 때의 시중이었던 金耆(김기)로 보았다. 金耆는 경덕왕 14년에서 17년까지 시중의 자리에 있었던 인물인데, 뛰어난 행정적 수완을 발휘한 인물로 추측된다. 그런데 문제는, 향가를 만들어 찬양할 정도의 인물이라면 그만한 업적이 들어나야 할 것인데 金耆는 단지 수완이 뛰어난 정치가 정도의 면모 외에는 뚜렷이 드러난 활약이 없었다는 점이다. 게다가 같은 경덕왕 때의 인물이었던 金耆를 찬양했다는 것 또한 이 주장을 의심스럽게 한다. 찬양이라는 것은 인물이 활동한 때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야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객관적인 역사적 평가는 후대가 되어서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대 인물, 그것도 시중이라는 높은 직책에 있는 사람에 대한 이러한 식의 찬양은 자칫 아부에 가까운 것으로 보여 질 수 있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찬기파랑가>는 ‘其意甚高’한 ‘詞腦歌’로 일컬어지기에는 상당히 부적절한 노래가 되며, 더욱이 경덕왕이 그런 충담사에게 <安民歌>를 지어달라고 했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파랑이 곧 金耆라는 주장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1) 일연, 『삼국유사』(2002, 을유문화사)
2) 유창균, 『鄕歌批解』(1996, 형설출판사)
3) 華鏡古典文學硏究會, 『鄕歌文學硏究』(2004, 일지사)
4) 정열모, 『향가연구』(1999, 한국문화사)
5) 서재극, 『新羅 鄕歌의 語彙 硏究』(1995, 형설출판사)
6) 박노준, 「讚耆婆郞歌에 대한 1․2의 考察」(1997,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7) 김종우, 『鄕歌文學硏究』(1980, 이우출판사)
8) 이탁, 「鄕歌新解釋」(1956,『한글』114호, 한글학회)
9) 김완진, 『鄕歌解釋法硏究』(1980, 서울대학교출판부)
10) 최철, 『鄕歌文學論』(1989, 세문사)
11) 김승찬, 『鄕歌文學論』(1986, 새문사)
12) 지헌영, 『鄕歌麗謠新釋』(1947, 정음사)
13) 김선기, 「찌이빠 노래(기파가):신라노래-셋-」,『현대문학』13권3호(통군147호), 현대 문학사, 1967
14) 황패강, 『鄕歌文學의 理論과 解釋』(2001, 일지사)
15) 신재홍, 『鄕歌의 美學』(2006, 집문당)
16) 양희철, 「讚耆婆郞歌의 어문학적 연구」 (1996, 한국고전연구학회)
*명*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전복
탑툰 이벤트
찬기파랑가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