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KEDO와 TCOG에 대한 비교연구

*선*
최초 등록일
2008.08.07
최종 저작일
2006.12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KEDO와 TCOG에 대한 비교연구한 페이퍼 입니다. 참고문헌, 각주가 확실하게 달려있는 정돈된 리포트입니다. 정치외교학, 국제관계학, 북한학 수강자들이 내기에 적합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검토

Ⅲ. 북한문제에 대한 한⋅미⋅일의 다자적 접근

1. 제네바 합의 이행을 위한 KEDO의 출현
2. 대북정책 조정을 위한 TCOG 창설

Ⅳ. KEDO와 TCOG의 전개과정과 비교분석

1. KEDO의 전개과정
2. TCOG의 전개과정
3. KEDO와 TCOG의 비교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한반도 비핵화’를 포함한 북한 문제의 해결은 2006년에도 여전히 동북아 지역정치의 화두로 남아있다. 북한이 핵을 벼랑끝 전술의 외교적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 국제적 관심을 집중시켰고 미국과 그의 동맹국인 한국, 일본은 북한에 의해 일어난 도발들을 다루기 위해 협조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물론 세 국가의 외교적 결합사이에 각 국가의 이익의 충돌 및 접근법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일차적으로 대북정책에 대한 한⋅미⋅일 공조체제를 유지하는 데는 합의한 것이다. 한미일간의 공조체제는 전쟁과 평화라는 역사 속에서 이루어졌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부터 미국을 매개로 한 한일간 공조체제의 형성이 그 출발이었다. 특히 이념적 대립이 첨예했던 냉전 시대에도 남방 삼각관계는 한미 상호 방위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을 축으로 협조관계를 유지해 왔다. 하지만 2001년 미국에 있어서의 리더십 변화는 미국의 대북한 정책의 근간을 바꾸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변화는 북한에 대한 포용정책에서 엄격한 상호주의 추구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살펴볼 다자 협의체 기구들을 통해 한미일간의 대북한 정책 공조가 점차 타협점을 잃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남북한 화해체제 구축은 미국의 도움 없이는 어렵기 때문에 한미일 국제공조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탈냉전의 상황에서도 동북아 지역의 상황은 북핵문제로 인해 다소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북핵문제가 가지는 초한반도적인 안보 위협적 성격과 지속적인 교착상태로 인해 북한 문제에 대한 다자주의적 접근은 더욱 강조되고 강화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한⋅미⋅일 간 공고한 정책 공조를 통한 북한 문제에의 다자주의적 접근을 강조하고 이것을 토대로 기존에 세 국가에 의해 창설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Korean Peninsular Energy Development Organization)와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Trilateral Coordination and Oversight Group)의 발전 과정을 통해 두 협의체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검토해 보면 북한 문제에 대한 한⋅미⋅일 공조체제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고 이에 대한 중요성을 누차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대북정책에 대한 다자적 접근으로서의 KEDO와 TCOG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일반적인 기구로서 협의체의 성격에 대한 논의나 각 국가의 이해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이 주를 이룬다.

참고 자료

외교통상부. 『1998 외교백서』1999.
. 『2001 외교백서』2002.

김영재⋅박인휘. “온건주의 연합: 북핵 문제 해법을 위한 한미일 정책 공조.” 『국제정치논 총』제44집 4호 (2004).
김용호. “대북정책과 국제관계이론: 4자회담과 햇볕정책을 중심으로한 비판적 고찰.” 『한국 정치학회보』36권 3호 (2002).
김태운. “6자회담의 다자주의 실천성 검증과 다자협력기제로의 발전방안.” 『북한연구학회 보』제9권 2호 (2005).
. “북핵 6자회담: 다자안보협력체로의 발전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고찰.” 『정치⋅정보 연구』제8권 1호 (2005.).
백광일⋅김의곤⋅이동형.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한미일 공조방향과 과제.” 『한국동북아 논총』제19집 (2001).
서창록⋅양기웅. “한국의 다자간 경제외교: APEC. OECD. UR. KEDO." 『연구총서』제58 호 (1999).
유현석.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의 가능성: 북핵 6자회담과 미국의 정책을 중심으로.” 『신 아세아』제13권 제2호 (2006).
이인성. “한반도 평화체계의 다자주의적 접근.” 『지역발전연구』제8권 (1998).
이종선. “북한 핵문제의 다자적 접근: 문제점과 전망.” 『21세기 정치학회보』제14집 1호 (2003).
이재봉. “한미일 공조 체제의 전망과 문제점: 미국의 대북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 논총』제16집 (2000).
이즈메 하지메. “한미일 3국간 대북정책 협조: 현황과 과제: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제24권 7호 (2002).
이창헌. “4자회담의 전개과정 및 추진방향.” 『한국동북아논총』제6집 (1997).
. “북한 핵문제에 대한 한국정부의 접근전략과 평가.” 『정치⋅정보연구』 제6권 2호 (2003).
전진호.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KEDO와 TCOG을 넘어서.” 『일본연구논총』제17호 (2003).
정옥임. “국제기구로서의 KEDO의 위상과 각국의 이해관계.”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 (1997).
홍소일. “이례적인 현상으로서의 KEDO: 핵확산금지에 대한 제도적인 접근방법.” 『전략연 구』통권 29호 (2003)

Bandow. Doug. "All the Players at the Table: A Multilateral Solution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Policy Analysis. No. 478. The Cato Institute. 2003.
Bruce Cummings. "Trilateralism and The New World Order." World Policy Journal. Spring 1991.
Edaward A. Olsen. "Trilateral(U.S., ROK, Japan) Cooperation i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Pacific Focus. Vol. XIX. No. 2. Fall 2004.
George Ehrhardt. "The Evolution of US-ROK Security Consultation." Pacific Affairs. Vol. 77. No. 4. Winter. 2004-2005.
Hughes. Chrisopher W.. "Japan`s Strategy-less North Korea Strategy: Shifting policies of Dialogue and Deterrence and Implications for Japan-US-South Korea Security Coop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 7. No. 2. 2000.
John Borawski. "Partnership for Peace beyond." International Affairs. Vol. 71, No. 2. Apr. 1995.
John Gerard Ruggie. "Multilateralism: The Anatomy of an Institu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6, No. 3. 1992.
Mel Gurtov. "South Korea`s Foreign Policy and Future Security: Implications of the Nuclear Standoff." Pacific Affairs. Vol. 69, No. 1. Spring. 1999.
Robert Keohane. "Multilateralism: An Agenda fo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XL. Vol. 4. 1990.
Robert M. Hathaway and Jordan Tama. "The U.S. Congress and North Korea During t he Clinton years." Asian Survey. Vol. 44, No. 5. Sept.-Oct. 2004.
Samuel S. Kim. "North Korea in 2006: Surviving through High Hopes of Summit Diplomacy." Asian Survey. Vol. 41, No. 1. Jan.-Feb..2001.
Steve Glain. "Korean Nuclear Puzzle Grows Complex: Anti-American Feeling in South Complicates Situation." The Wall Street Journal. March 1994.
Young Whan Kihl. "US-DPRK Nuclear Accord and KEDO." Asian Perspective. Vol. 21, No. 2. 1997.
Youngho Kim. "The Great Powers in Peaceful Korean Reun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n World Peace. Sept. 2003.
Young-ho Kim. "Multilateral Approaches to the Korean Problems: A Comparative Anaysis of The KEDO and Four Party Talks."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15, No. 1. 2001.
*선*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KEDO와 TCOG에 대한 비교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