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미술사학]경주 남산의 불교 조각의 의의

*도*
최초 등록일
2007.02.14
최종 저작일
2010.01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경주 남산에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말기까지 약 300년 동안 계속하여 불상과 탑이 조성되었다. 남산의 불상만 가지고도 신라 조각사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이 글은 불교 조각사 연구 중 경주 남산의 불교 조각의 조각사적 의의에 대해 쓴 글이다. 경주 남산에 관한 역사, 불교조각의 예, 의의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글이다.

목차

I. 머리말
II. 남산의 역사
III. 불교조각
IV. 남산 불교조각의 편년
V. 남산의 의의

본문내용

I. 머리말
경주의 산치고 신라의 유적이 없고 전설이 없는 산이 있을까마는 그 으뜸의 자리에는 남산이 있다. 금오봉(468m)과 고위봉(494m)의 두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40여 개의 계곡과 산줄기들로 이루어진 남산은 남북 8km 동서 4km로 남북으로 길게 뻗어내린 타원형이면서 약간 남쪽으로 치우쳐 있다. 남산은 크게 동남산과 서남산으로 나뉘는데, 동남산 쪽은 가파르고 짧은 반면 서남산 쪽은 경사가 완만하고 긴 편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유물․유적의 숫자로 보면 서남산 쪽이 동남산보다 월등히 많다.
남산에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말기까지 약 300년 동안 계속하여 불상과 탑이 조성되었으므로 남산의 불상만 가지고도 신라 조각사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남산에는 1백개소의 寺址, 61기의 석탑, 78구의 석불상이 동서로 흐르는 35개의 모든 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의 산은 대개가 수려한 巖峰으로 빼어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런데 남산에서처럼 계곡마다 寺院을 짓고 圓刻像 또는 磨崖像을 彫像하여 하나의 산에 이렇게 많은 불상이 밀집된 곳은 찾아 볼 수 없다.
이 글에서는 먼저 남산의 역사와 불교유적을 살펴본 후 불교사적 의의와 新羅人이 갖은 남산에 대한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I. 남산의 역사
청동기시대(기원전 1000~300년쯤), 초기 철기시대(기원전 300~0년쯤)에는 남산의 꽤 높은 곳에 사람이 살았고, 역사시대로 들어가는 原三國時代(기원후 0~300)에는 사람들은 보다 아래쪽 산기슭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신라의 귀족들이 경주 평지로 옮겨간 삼국시대에는 일종의 聖域으로서 禁山처럼 되어 있었던 모양이며, 고신라기의 유적으로는 말기의 석실분이 몇기 있을 뿐이다. 그리하여 이 남산이 불교에 의해 개발되기 시작하는 것은 통일 가까운 7세기 전반기부터이며, 불교의 南山 진출은 8세기로 들어가면서 점차 본격화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1. 著書 및 調査報告書
윤경렬, 『경주남산고적순례』, 경주시, 1979.
경주시, 『고도 경주』, 1982.
황수영 외 17인, 『역사도시 경주』, 열화당, 1984.
윤경렬, 『겨레의 땅 부처님의 땅』, 불지사, 1993.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경주남산』, 1995.
김원룡․강우방, 『경주남산』, 열화당, 1987.
윤경렬, 『경주남산』1,2, 대원사, 1989.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이야기』, 1991.
황수영․김길웅, 『특별전- 경주 남산 탑곡 사방불암』, 통도사 성보박물관, 1990,
윤경렬, 『경주남산의 탑골』, 열화당, 1991.

문화재 연구소 경주발굴조사단, 『掘佛寺調査報告書』, 1986.
동국대박물관, 『天龍寺塔址 發掘調査報告書』(고적조사보고서 제2책), 1991.
동국대박물관, 『天龍寺廢三層石塔 復元報告書』(고적조사보고서 제3책), 1991.
문명대, 『경주 남산의 불상실측과 조사연구』, 한국미술사연구소, 1989.
신창수, 「배리 석불입상주변 발굴조사」『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긴급발굴조사보고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2.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Ⅰ(탑 및 탑재 조사보고서), 1992.
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遺蹟發掘調査報告書』, 992.
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西岳址表調査報告書』, 1994.
국립문화재연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Ⅱ(서남산 폐사지 조사보고서), 1997.
국립문화재연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Ⅲ(동남산 폐사지 조사보고서), 199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天龍寺址 發掘調査報告書』, 1998.

2. 논문
진홍섭,「新發見南山新城碑小考」『역사학보』13집, 역사학회, 1960.
진홍섭, 「南山 新城碑 片 二個의 發見」『고고미술』제2권 제 1호, 1961.
진홍섭,「경주 남산 미륵곡의 마애여래좌상」『고고미술』33호, 고고미술동인회, 1963.
황수영,「경주 남산 장창곡에서 옮긴 삼존석상」 『사학회지』7, 연세대 사학연구회, 1964.
정영호,「慶州 南山 佛蹟 補遺」 『사학지』1집, 단국대사학회, 1967.
황수영,「신라 남산 삼화령 미륵세존」 『김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9.
홍맹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 연구』, 홍익대석사학위청구논문, 1976.
문명대,「太賢과 茸長寺의 석불조각」『白山學報』17집, 백산학회, 1977.
문명대,「新羅 四方佛의 起源과 神印寺의 四方佛」『한국사연구』18, 한국사연구회, 1977.
문명대,「禪房寺 三尊石佛立像의 考察」『미술자료』23, 국립중앙박물관, 1978.
문명대,「新羅 四方佛의 展開와 七佛庵佛像彫刻의 硏究」『미술자료』27, 국립중앙박물관, 1980.
김길웅,「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신라문화』5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88.
문명대,「경주 남산 윤을곡 태화9년명 마애불상의 연구」『손보기박사정년기념고고인류학논총』, 지식산업사, 1988.
장충식,「남산리 동서3층석탑」『한국의 탑』, 일지사, 1989.
강우방,「경주 남산론」『원융과 조화』, 열화당, 1990
김동윤,「신라 중대 아미타신앙과 경주남산」『고고역사학지』5․6합집, 동아대박물관, 1990
최희선,『경주 남산 선방곡 사지 삼존석불의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박방룡,「경주 남산 왕정곡 석조여래입상」『박물관신문』266호, 국립중앙박물관, 1993.
진현선,『경주남산 石佛의 法衣 樣式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유마리,「경주남산 9세기의 마애불상고찰」『신라문화』10․11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문명대,「경주 남산불적의 변천과 불곡감실불상고」『신라문화』10․11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박방룡,「경주남산 삼릉계 석불좌상」『박물관신문』281호, 국립중앙박물관, 1995.
박홍국,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의 명문과 조성연대」『경주사학』17집, 경주사학회, 1998.

3. 남산 관련 기타 논문
강인구, 「신라왕릉의 再檢討」『동방학지』41,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5, 12.
홍사준, 「경주 포석정의 명칭과 실물」, 『고고미술』129․130호, 고고미술동인회, 1976.
강경숙, 「경주 배리출토 土器骨壺 小考」『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1, 일지사, 1987.
박방룡, 「경주 남산 新城의 硏究」『고고역사학지』10, 1994.


4. 日文
豊秋,「佛像-朝鮮慶州南山石彫」『佛敎美術』6, 佛敎美術社, 1926.
大坂六村, 「慶州の南山」『朝鮮』184, 朝鮮總督府, 1930.
大坂金太郞, 「朝鮮 慶州에 있는 廢寺址 寺名推定에 關하여」『朝鮮』197, 조선총독부, 1931.
杉原莊介, 「慶州南山に遺蹟を探る」『トルメン』2-4, 岡書院, 1933
小場恒吉, 『慶州南山の佛蹟』 朝鮮總督府, 1940.
小泉顯夫,「慶州南山の佛蹟調査」『親和』139號, 日韓親和會, 1965.
中吉功,「慶州南山の佛蹟」 『新羅․高麗の佛像』, 二玄社, 1971.
正木 晃,「慶州南山」『藝叢』3, 筑波大學 藝術學硏究誌, 1985.
久野 健, 「慶州の石佛と石窟庵]」『佛像のきた道』, 日本放送出版協會刊, 1985.
小坂泰子編著, 「南山」『韓國の石佛』, 株式會社 成出版社, 1987.
東潮․田中俊明, 「南山の佛蹟」 『韓國古代遺蹟- 新羅篇』, 中央公論社, 1988
田中俊明,「慶州新羅廢寺考(1)」『堺女子短期大學紀要』第23號, 堺女子短期大學, 1988.
田中俊明, 「慶州新羅廢寺考(2)」『堺女子短期大學紀要』第24號, 堺女子短期大學, 1989.
*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석불마애불 연구현황 6페이지
    조각 연구 내에 포함되어 연구되었는데 근대적인 미술사학자 고유섭에 의해 ... 우리 불교미술사에서 마애불은 자연에 거스름 없이 신앙과 예술을 조화시켜 낸 ... 이러한 조각사 연구는 불교 조각의 연구의 귀중한 기본 자료를 마련하였다고
  • 한글파일 경주지역 박물관 관람기 16페이지
    경주분관의 관장을 지낸 미술사학자이고, 윤경렬 선생은 평생 동안 경주와 ... 통일신라 초기의 고선사 터 삼층석탑(국보 제38호), 8세기 통일 신라 불교조각의 ... 제 5부 구성은 ‘불국토’로, 불교미술품이 학문적 연구 대상이 되고, ‘문화재
  • 한글파일 [교육학] 삼국시대의 교육사상 15페이지
    삶의 문제에 대하여 사고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것은 우리 민족의 미술ㆍ건축ㆍ조각ㆍ공예 ... 다른 한편, 고구려에서는 태학이 관학인데 비하여, 우리나라 사학의 시초라고 ... 이에 따라 전사단으로서의 화랑도의 존재 의의는 저절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미술사학]경주 남산의 불교 조각의 의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