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가버넌스]뉴 거버넌스, 주요 이슈와 행위 주체

*나*
최초 등록일
2007.02.12
최종 저작일
2007.02
2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I. 서론 : 이슈와 행위 주체 선정의 기초

II. 분석의 틀: 거버넌스의 차원과 이슈, 행위주체

III. 거버넌스의 주요 이슈

IV. 거버넌스의 주요 행위 주체

V. 사이버 거버넌스, 이슈와 행위 주체

본문내용

I. 서론 : 이슈와 행위 주체 선정의 기초

거버넌스 개념의 등장 이면에는 기존의 국민국가 중심의 통치체제의 약화라는 배경이 깔려있다. 국가 중심의 통치 능력은 약화되고 통치 요구는 높아지는 상황에서 새로운 개념으로서 거버넌스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Kooiman, 1993). 사회가 복잡성을 띠면서 나타나는 정치․경제․사회 분야에 있어서 탈산업 사회, 탈근대적 변화 등은 조정(coordination)과 조종(steering), 조절(regulation)을 통한 새로운 질서를 형성할 수 있는 국정운영의 새로운 방식을 요구하게 되었다(Kooiman 1993; Kooiman and Vliet, 1993). 이제 국민국가의 권력은 상향적, 하향적, 외향적 이동을 통해 분화되는 탈 국민국가화 경향을 보이게 된 것이다(Jessop, 1997). 이러한 배경에서 거버넌스 개념이 등장하였고, "정부에서 거버넌스로(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정부 없는 거버넌스(Governance without Government)"의 문제가 중요하다는 인식의 공감대가 관련 기관과 학계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World Bank 1994; March and Olsen 1995; Rhodes 1996; Peters 1996).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거버넌스의 정의는 국가마다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면이 큰 반면, 보편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념정의를 발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글, “뉴 거버넌스, 주요 이슈와 행위 주체”에서는 거버넌스의 영역에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이슈들을 그 적용 영역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다양한 행위 주체들과 연계하여 봄으로써 거버넌스에서 상정하는 상호작용의 네트워크 구도의 틀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거버넌스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대상과 활동 범주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거버넌스를 주도하는 행위 주체의 선정과 그들의 활동 범주를 설정하는 일은 매우 자의적일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영래, 1999. “비정부조직(NGO)과 국가와의 상호작용 연구: 협력과 갈등,” 『국제정치논총』, 제 39집, 3호.
김정렬, 2000. "거버넌스의 구현과 정부간 관계의 미래: 지방중심 경제 발전 모형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Vol. 32. No. 1.
박상필, 1999. "시민단체와 정부의 관계 유형과 지원체계,“ 『한국행정학보』, 제 33권 제 1 호(봄).
박재영. 1998. 『국제기구정치론』, 서울: 법문사.
성경륭. 1993. "통일한국의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의 방향," 한국정치학회 발표 논문
아사이 노무오(저), 윤길순 (역), 1993. 『민족분쟁지도』, 서울: 자작나무.
윤덕희, 1999. "동유럽의 민족주의와 민족갈등에 관한 연구: 구 유고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윤영민, . "가상공동체의 공동체성,“ 「추계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한국 사회학회.
윤영민, 2000. “21세기 공동체의 전망: 가상공동체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 9권, 1호.
이은구․김겸훈. 1999. "지방정부과 NGO의 생산적 협력 관계 구축에 관한 이론 탐색,“ 『정치․정보 연구』, 제 2 권, 2호, pp. 33-63.
정규호․문순홍, 2000. "거버넌스와 젠더: 젠더 친화적 거버넌스의 조건에 대한 탐구,“ 「Post-IMF Governance 하계학술회의」, 한국정치학회 하계학술회의, 별쇄본.
주성구․서영진. 2000.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황진수. 1993. 『현대 복지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Aall, P. 1996. "NGOs and Conflict Management," Washington D.C.: US Institute of Peace, Peacework, No. 5.
Barlow, I. M., 1981. Spatial Dimensions of Urban Government.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Blair, H. 1997. "Donors, Democratization and Civil Society: Relating Theory to Practice," in Hulme, David and Michael Edwards, NGOs, States and Donors: Too Close for Comfort?, London: MacMillan Press Ltd.
Bratton, M. 1990. "NGOs in Africa: Can They Influence Public Policy?" Development
*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가버넌스]뉴 거버넌스, 주요 이슈와 행위 주체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