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동궐도(東闕圖)로 바라본 창경궁(昌慶宮)의 과거와 현재

*효*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6.10.15
최종 저작일
2006.09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사학전공 졸업논문입니다.

동궐도를 통해 창경궁의 과거와 현재모습을 조명해보았습니다.

현재 남아있지 않는 전각들까지도 세세한 설명을 달아서
혹시 창경궁관련 레포트 쓰실 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동궐도(東闕圖)란 무엇인가?
1) 동궐도의 가치
2) 동궐도의 제작연대와 작가

3. 동궐도와 비교해 본 현재의 창경궁 모습
1) 홍화문(弘化門)과 외행각
2) 명정전(明政殿), 명정문(明政門)과 내행각
3) 문정전(文政殿)과 그 주변
4) 숭문당(崇文堂), 함인정(涵仁亭)과 취운정(翠雲亭)
5) 환경전(歡慶殿), 경춘전(景春殿)과 그 주변
6) 연경당(延慶堂), 체원합(體元閤)과 그 주변
7) 양화당(養和堂)과 그 주변
8) 통명전(通明殿) 터
9) 자경전(慈慶殿), 환취정(環翠亭)과 그 주변
10) 집복헌(集福軒), 영춘헌(迎春軒)과 여경헌(餘慶軒)
11) 통화재(通和齋)와 그 주변
12) 요화당(瑤華堂), 취요헌(翠耀軒), 신독재(愼獨齋)와 그 주변
13) 건례당(建禮堂), 고수원(古修阮)과 해온루(解慍樓)
14) 수강재(壽康齋), 용안재(容安齋), 진수당(進修堂), 춘방(春坊)과 그 주변
15) 별감방(別監房), 등촉방, 배설방가 훈국군번소(訓局軍番所)
16) 도총부(都摠府), 고문관(考文館), 누수간(漏水間)과 규영신부(奎瀛新府)
17) 내사복시(內司僕寺), 교자방(轎子房)과 그 주변
18) 관천대(觀天臺)
19) 풍기석(風旗石)
20) 춘당지(春塘池)와 관덕정(觀德亭)
21) 주자소(鑄字所)와 내의원(內醫院)

4.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어떤 것도 세월의 흐름에 거스를 수 없다. 특히 목조건축인 경우에 화재와 기타 천재지변으로 개축과 복원을 반복해 현재는 그 모습이 처음 건축했을 당시와 많이 다른 모습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구중궁궐(九重宮闕)이라 불리는 옛 궁궐의 모습과 달리 2006년 현재 창경궁의 모습은 허전하고 쓸쓸하기까지 하다.
여기 19세기에 창경궁(昌慶宮)과 창덕궁(昌德宮)을 그린 지도가 있다. ‘장독대까지 그려 세세하게 궁궐 곳곳의 모습을 표현한 궁궐도‘인 동궐도. 동궐도를 통해 창경궁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 보자.

2. 동궐도(東闕圖)란 무엇인가?

1) 동궐도의 가치

동궐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궁궐도로 조선 왕조의 법궁이었던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이다. 현재 남아 있는 궁궐도 중에서 규모, 내용, 작품 수준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나다. 현재 고려대학교 박물관과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원본이 소장되어 있으며, 두 본 모두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동궐도는 세 본 이상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본의 각 폭에는 동궐도인(人)이라는 표기가 있는데, 고서화의 관례상 동궐도천(天)과 동궐도지(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제작 당시 최소한 천,지,인 세 본이 만들어졌을 것이고, 현재의 고려대학교 소장본과 동아대학교 소장본 이외에 적어도 한 본이 더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그 한 본이 어떻게 되었는지 알 길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본래의 상태로 보존된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열여섯 개의 화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화폭 하나하나는 세로 방향으로 다섯 번 접히는 화책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접어놓았을 때 화책의 크기는 세로 45.5cm, 가로 36.5cm이다. 그러므로 열여섯 개의 화첩을 오른편으로부터 왼편으로 모두 펼쳐서 이어 놓았을 때의 크기는 세로 273cm, 가로 584cm이다. 엄청난 크기의 이 작품은 도화서 화원의 손을 빌려 제작되었고 보안상 외부 유출이 금지된 궁중 소장품이었다. 넓은 터에 자리 잡고 있는 궁궐의 여러 시설물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부감법(俯瞰法) 높은 곳에서 멀리 아래를 굽어 내려다본 모습으로 그리는 것을 말한다. 새가 높이 날아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
같다고 하여 조감법이라고도 한다.

참고 자료

안휘준, 동궐도 읽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5
안휘준, 엿 궁궐 그림, 대원사, 1997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8
한영우,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효형출판, 2003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2000

자료후기(1)

*효*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동궐도(東闕圖)로 바라본 창경궁(昌慶宮)의 과거와 현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