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후감]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요약
저작시기 2003.10
한글 (hwp) 17페이지 가격 1,000원
등록일 2004.10.13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대 태조실록부터 27대 순종실록까지본문내용
제1대 태조실록1. 조선 개국 이전의 이성계
이성계의 등장 : 이성계의 집안은 고조부 때부터 원의 관리로서 여진의 남경 지역에 기반을 닦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은 원의 차별정책에 반발하여, 1356년 공민왕을 도와 아들 성계와 함께 고려의 옛 땅을 회복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그는 동북면의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다가 1360년에 병사하고 차남 이성계가 아버지의 자리를 이어받게 된다. -- 이성계는 1335년 화령부에서 태어났으며, 박의의 반란, 홍건적의 침입, 나하추의 침입 등에 대응함으로써, 27세의 나이에 문무를 겸비한 고려의 주목받는 관리로서 역사 전면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성계의 활약상 : 이성계는 1356년 쌍성총관부 수복 전쟁을 시작으로 나하추 부대, 덕흥군 주력부대를 대패시키고,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토벌하였으며, 1388년 위화도 회군에 이르기까지 30여 년을 전쟁터에서 살다시피 했지만,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던 맹장이었다. 이 혁혁한 전공에 힘입어 그는 고려 조정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세력으로 성장하게 된다.
2. 역성 혁명을 통한 조선의 개국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장악한 이성계 일파 : 고려가 요동을 공격하기로 한 것은 명이 무리한 공물을 요구하는데다 철령 이북 땅을 차지하겠다고 고려를 위협했기 때문이다. 고려를 속국으로 삼겠다는 이러한 명의 의도에 고려 정부는 크게 반발하였고, 급기야 최영 일파의 요동 정벌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성계와 조민수가 강을 건널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자 이성계는 우왕에게 요동 정벌의 부당성을 주장하는 이른바 `사불가론(四不可論)'이라는 상소를 올린다.
판매자 정보

eduele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