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불화] 고려불화
등록일 2003.11.12
한글 (hwp) 6페이지 가격 9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고려불화에 대한 레포트입니다.그림이 13장 정도 있고 그에 대한 해석도 있습니다.
과제하는 데에 있어 많은 도움됐음 합니다.
목차
고려불화의 특징<십일면천수천안관음보살도 十一面千手千眼觀音菩薩圖>
<혜허의 관음보살입상 觀音菩薩立像>
<서구방의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
<석가삼존십육나한도>
<오백나한도>
*우리나라의 아미타 미술
<아미타삼존도 阿彌陀三尊圖>
<아미타여래설법도阿彌陀如來說法圖>
<아미타여래도 阿彌陀如來圖>
<자회의 아미타여래도 阿彌陀如來圖>
<관경변상도>
<지장도 地藏圖>
<미륵하생경변상도>
<사경변상도(감지금니화엄경보현품변상도)>
본문내용
고려시대는 불교가 일반 서민에게 대중화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미술적인 면에서 고려불화는 우리역사에 있어 꽃을 피웠다는 평을 받을 만큼 완성도가 높다. 폭넓게 퍼진 정토신앙은 극락정토의 모습을 사실감있게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민중들에게 극락세계에 대한 믿음을 심어줄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고려불화는 13세기 말부터 14세기 즉 고려후기에 그려진 불화들이기 때문에 고려 전기의 불화가 어떠했는지는 알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고려불화의 특징을 살펴보자.
첫째 귀족적이다. 고려불교의 특징이 귀족 불교였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당연한 것으로 보이며 왕족과 지방 호족등 권문세가들의 후원을 받아 제작됐을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로는 화엄경과 법화경에 의한 그림작품이 매우 많았다. 법왕사와 부석사 등에 화엄조사 영정과 오십오 선지식에 대한 벽화가 그려졌다거나 금산사 등에 있는 미륵변상도 등의 작품이 그러한 예이다.
판매자 정보

myk1003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