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와 문화] 속담이야기
등록일 2003.11.12
한글 (hwp) 31페이지 가격 9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속담의 정의2.우리나라 속담의 특징
3.소재별 속담의 모음
1)남녀
2)호랑이
3)동냥/구걸
4)고양이
5)계절
6)바람
4.북한의 속담
5.속담이 사용된 예
6.외국의 속담
7.우리나라 속담과 대응되는 일본의 속담
8.속담 속에 있는 과학의 원리
9.맺음말
본문내용
1.속담의 정의-옛날부터 말로 전해 내려온 풍자·비판·교훈 등을 간직한 짧은 구절로, 이언(俚諺)·속언(俗諺)이라고도 한다. 서민생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 많으나, 고전(古典)이나 고사(故事)에서 나와 어느덧 세상에 유포된 것도 있다. 어조(語調)가 좋고 간결하며, 표현이 정확하다. 그래서 잘만 사용하면 큰 효과를 올릴 수 있다. 그러나 남용하면 싫증이 나고, 상투적인 말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속담은 그 기능에 따라서 비판적·교훈적·경험적·유희적 속담으로 나눌 수 있다. 비판적 속담은 ‘천재와 바보는 종이 한 장 차이’와 같이 상대편의 아픈 데를 찔러 기선(機先)을 제압하는 데 쓴다. 교훈적 속담은 격언이나 금언(金言)과 비슷한데, 중국의 고전이나 불교의 경전에서 온 ‘의식(衣食)이 족해야 예절을 안다’가 그 예다. 경험적 속담은 오랜 경험 끝에 체득한 지식을 알기 쉬운 말로 정리한 것이 많은데, ‘등잔 밑이 어둡다’가 그 예에 속한다. 이 밖에도 ‘비온 뒤 땅 굳는다’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 등 수없이 많다.
속담은 일상생활의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격언에서 보는 것과 같은 깊이는 없다.
판매자 정보

dltnfcjfja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