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예학] 정원양식
등록일 2003.07.23
한글 (hwp) 7페이지 가격 1,5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 정원양식의 발달▣ 정원의 구분
▣ 서양 정원의 발생과 발달
▣ 동양식 정원의 발생과 발달(인도, 중국의 영향을 받음)
▣ 우리나라 정원의 발생과 발달
1. 고대의 정원
2. 중세(고려시대)
3. 근세의 정원
4. 현대
본문내용
1. 고대의 정원초기모방시대
- 고문헌에 기록된 백제 진사왕때의 정원 기록
- 고대 중국식(중도식 정원) 영향을 받은 신선설에 입각하여 못 가운데에 방대한 섬
- 지리적 조건의 우위성으로 백제에서 먼저 발달
백제 후기
- 바다교통이 육로보다 중국과 교역이 쉽기 때문에 가장먼저 발달
- 의자왕의 방탕하고 사치한 생활
- 교외의 아름다운 경치를 가진 자리에 주연을 위한 시설의 마련
- 백제 중기에 비해 더 크고 호화로운 정원
- 외적의 침입을 방비하기 쉬운 구릉지를 궁처를 삼은 터에 자연적인 풍치를 살리고자하는 새로운
양식의 탄생 ==> 부여의 "반월성지"
고구려시대
- 유적이나 문헌의 부재에 의해 그 윤곽을 찾아보기가 힘이 듬
통일신라시대
- 당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 문화의 향상에는 노력하였으나 정원에 대해서는 소홀
- "안압지"를 중심으로 한 정원의 축조가 문헌상에 기록
- "포석정" 유적으로 그 당시의 독특한 정원양식 유추
2. 중세(고려시대)
초기에는 신라전성시대의 정원양식, 즉 중국식 정원에 준하는 양식이 답습되었으리라고 추측
중엽이후 독특한 양식으로의 발전 추측
초기
- 비교적 평온한 시대
- 임금들의 정원에 대한 지나친 관심
- 민가의 화초 징발, 중국의 진귀한 화초 수입
=> 모란, 국화, 작약, 황촉규, 계관화, 사계솨, 장미, 해당, 옥매, 봉선화, 연, 목필화등 매우 호화롭고
이국적인 색채의 정원
- 격구를 위한 넓은 뜰의 마련으로 조원의 대상이 정원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운동 경기면에도 미치고
있었음을 유추
후기
- 외환이 잦아 정원에 소홀
- 충렬왕 34년 내원서(정원을 담당하는 기관)의 설치 ==> 정원의 축조, 관리, 수리등이 체계저으로 이룸
3. 근세의 정원
판매자 정보

8383jo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