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대선평가
등록일 2003.07.17
한글 (hwp) 3페이지 가격 6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없음본문내용
그리고 이번 선거를 평가하는데 있어 미디어의 영향력 강화를 들 수 있다. 14대 대선까지 볼 수 없었던 미디어 선거가 15대 대선을 기화로 우리 정치 문화 속에 안정적으로 정착을 하였는데 이는 선거비용 감소와 후보들의 정책과 자질 비교, 그리고 특정 언론에 의해 왜곡된 후보의 이미지를 바로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15대 대선 때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 후보가 텔레비전 토론회에 나와 자신의 이념, 정책 등을 검증한 이후 지방선거에서도 사용되었고 이번 선거에 있어서도 특정후보가 대세론을 바탕으로 초반 거부하기도 하였지만 결국 후보 단일화와 진보정당이라는 민노당의 권영길 후보가 거대 정당의 후보와 토론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경직된 우리사회의 분위기를 깨트리고 토론 문화가 사회 곳곳에 정착될 수 있게 하였다.판매자 정보

mrhide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