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위장염
저작시기 2017.12
한글 (hwp) 18페이지 가격 2,200원
등록일 2017.12.12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A. 문헌고찰
B. 간호과정
본문내용
A. 문헌고찰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1) 정의
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젖먹이에게 생기는 장염은 주로 로타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이는 2세 미만 젖먹이에게 잘 일어나며, 그 이후에도 재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로 경구 감염을 통해서 일어나며, 감염력이 매우 강하여 곧 주위에 퍼지며, 감염 후 2∼3일쯤 지나서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2) 원인
(1) 감염성 원인
①세균성 : Salmonella, Shigella, yersinia, enterocolitica
② Virus성 : Rotavirus, enterovirus, adenovirus
(2) 비감염성 원인
① 특정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 우유, 밀, 단백질 등
② 음식에 대한 직접적인 위장관 자극
(3) 원인균의 전파경로
① 대변-경구 통로로 전염
② 사람과 사람의 접촉을 통해 전염
③ Shigella, Giardia, Campylobacter 는 직접접촉에 의해 전염됨
(4)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전염 - 많은 양의 유기체나 접종원이 필요
① 살모넬라 : 준비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유기체에 오염된 우유, 고기, 달걀을
섭취해 생길 수 있음
② 포도상구균성 위장염 : 잘못 보관된 우유제품이 오염원이 되는 경우가 많음
2. 질병의 Pathophysiologic mechanism
바이러스 감염의 병리적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감염으로 인해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고 상피세포와 관련 효소계의 재생으로 회복된다. 질병은 이러한 재생이 일어나는 동안에도 계속 된다.(48~96시간) 세균은 장 점막에 작용해서 내독소 생산, 점막 침범과 파괴, 장 천공을 초래한다.
3. 진단방법
1) 병력
(1) 가족 혹은 어떤 집단에서 동시에 급한 설사가 일어나면 전염성 내자 독소에 연유한 경우
(2) 특정 음식이나 물을 먹은 후 급성 설사가 발생 했다면, 먹은 시간과 증상이 나타난 시간과의 간격을 따져보아, 그 간격이 14시간 이내면 식중독일 가능성이 높고, 14시간 이상이면 세균성 설사의 가능성이 높음
참고 자료
없음판매자 정보

cheks94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