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무신정권
저작시기 2017.10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500원
등록일 2017.11.13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Ⅰ. 귀족사회의 동요와 무신란Ⅱ. 무신 정권의 전개
Ⅲ.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Ⅳ. 지방 사회의 동요
본문내용
Ⅰ. 귀족사회의 동요와 무신란1. 귀족사회의 붕괴
1) 배경 : 지배층의 분열
-원인 : 문벌귀족들의 정치권력과 경제력 확대
2) 대립구도 : 전통적 문벌귀족(인주 이씨) vs 지방출신 신진관료 세력
3) 결과 : 이자겸의 난 (1126), 묘청의 난 (1135)
2. 이자겸의 난 (1126)
1) 이자겸(李資謙)은 전통적 문벌귀족에 해당하는 인주 이 씨였으며 예종의 외할아버지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음
2) 인종 즉위 후 예종의 동생 및 반대파들 제거
3) 이후 인종4년(1126) 국왕의 측근세력이 이자겸 제거 시도
4) 척준경의 군사행동으로 인하여 실패
<중 략>
2) 형성기 : 정중부가 무신란(武臣亂)을 일으켰을 때부터 1196년 (명종 26년)에 최충헌이 당시 최고 권력자인 이의민을 제거하고 집권할 때까지를 말함
(1) 특징 : 아직 무신정권 초기라 불안정한 상태
가. 아직까지 무신정권의 기반이 확립되지 못해 지위가 불안정
나. 당시 무신정치는 무신세력의 집합체인 중방(重房)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다. 집권자의 교체가 빈번함
라. 최충헌이 이의민을 죽이고 집권하기 전까지 세력이 불안정해 문신들의 반란 多
3) 확립기 : 최충헌이 집권을 시작해 최씨 일가가 4대 62년간 집권한 시기
(1) 특징 : 최씨 정권의 유지를 위해 최씨 본인들에게 유리한 정책 시행
가. 독자적인 정치기구인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나. 막대한 사병 조직 → 자체적인 권력기반 확보 & 전형적인 무신정권의 형태를 갖춤
다. 당시 왕은 최충헌에 의해 자주 변경됨 (명종→신종→희종→강종→고종)
라. 4대 최의가 김준과 임연에 의해 사살되면서 최씨 정권 붕괴
참고 자료
민병하. 1990. 『고려무신정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변태섭. 2007. 『韓國史通論』. 三英社
한영우. 2014.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이병희. 2014.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3. 가람기획
판매자 정보

hcryu12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