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7.04.17
최종 저작일
2016.06
4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7,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수록지정보 : 구비문학연구 / 42권
저자명 : 신동흔

목차

1. 여는 말 : 구술과 문학 사이
2. 기억과 스키마, 그리고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
3. 구비설화의 원형적 구조와 인지적 의의
3.1. 형태와 의미의 전완적 총체로서의 이야기
3.2. 이야기의 다양한 구조와 인간정신의 개방성
4. 인간에 대한 본원적・과학적 탐구로서의 설화 연구
5. 맺는 말 : 다시 문학의 바탕으로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이야기와 인간의 근원적 연관성에 착안하여 인간 연구로서 설화 연구의 의의
와 방법을 탐색한 것이다. 설화의 스토리(story)는 형태와 의미의 양 측면에서 함축적 정합
성을 지니는 고도의 인지 기제로서, 설화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의 모형이자 인간 삶의 축도
가 된다. 설화를 통해 인간에 대한 본질적이고 심층적인 탐구가 가능하거니와, 이는 설화
연구가 지향해야 할 가장 문학적이면서도 의미심장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설화의 서사와 인간의 인지는 여러 측면에서 깊은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은 기
억을 수행함에 있어 필연적으로 선택과 구성의 과정을 거치는데 그 매커니즘이 다분히 스
토리적이다. 특별하고 인상적인 요소가 청크(chunk)를 이루며 이를 축으로 한 일련의 기억
이 스크립트 스키마 형태의 계기적 질서를 갖추게 된다는 인지이론의 설명은, 화소(話素)라
는 낯설고 특별한 구성요소들이 정합적인 서사구조 형태로 계열화됨으로써 기억과 의미화
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고 하는 설화의 형상화방식과 긴밀히 통한다. 인지이론에서 이야기 스키마를 분석하여 기술한 결과가 서사학자들이 설화로부터 순차구조를 분석해낸 결과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은 설화적 스토리가 인간의 중요한 인지기제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
다. 인지이론과 서사학의 공통적 성과는 인간이 그 자체로 스토리적인 존재임을 보여준다.
인지이론에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양식의 스토리적 속성을 고찰한 결과는 교육 활동과
콘텐츠 분석 등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관점은 다분히 형태적이고 기능적인 측
면에 치우친 것이었다. 스토리는 형태 이상의 것으로서, 인지기제로서 스토리 연구는 형태
와 의미를 결합한 총체적인 형태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형태와 의미의 양 측면에서 고도의
정합성과 함축성을 지니는 오묘한 스토리가 구비설화의 서사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종소리>를 대상으로 설화적 서사가 지니는 형태적 전완성과 주제적 깊이를 단적으로 살
펴보았으며, <선녀와 나무꾼>과 <우렁각시>, <구렁덩덩신선비>를 통해 여러 설화들이 어
떻게 같고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반영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도의 체계성
과 함축성을 갖춘 인지기제로서의 구비설화 스토리에 대한 유효한 분석을 위해 구비문학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설화의 스토리와 인간 인지의 동질성은 인간 연구로서 설화 연구의 가능성과 유효성을
확인시켜 준다. 인간과 문학의 본질적 동질성에 기초한 서사 연구의 유의미한 선례로 정운
채가 선도한 문학치료학 연구성과를 들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설화의 서사적 본령을 충분
히 감당하기에 아직 부족한 것이었다. 서사분석에 전문적 경험과 능력을 갖춘 구비문학 연
구자들이 나서서 인간연구로서 설화연구의 길을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 그를 통해 구비문
학 연구의 새롭고 큰 미래가 열릴 수 있다.

영어 초록

This paper was inspired by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stories and
humans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nd methods of studying folktales as
a way to study humans. The stories of folktales are highly advanced cognitive
mechanisms with connotative consistency in terms of forms and meaning, and
folktales are the model of human thinking and the reflection of human life.
It means that fundamental and in-depth exploration about humans is possible
through folktales. This is literary and significant task that folktale research
should pursu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ies of folktales and human cognition can be
found in many aspects. Humans go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on and
construction in forming memory and the mechanism is like constructing a story.
The explanation of cognitive theory that the objects of memory form chunks
and a series of memories create script-like order is closely related to folktales’
way of embodiment whereby unfamiliar and special motifs form consistent story
structure and effectively perform memory and signifying process. The fact that
the result of describing the analysis of schema of stories in cognitive theory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folktales’ syntagmatic structure by
narratologists proves that stories of folktales are important cognitive mechanisms of humans. Cognitive theory and narratology commonly show that humans are
existence of storie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story-like features of human thinking and
behavior in cognitive theory is being widely applied to educational activities
and cultural contents analysis. However, the viewpoint has been fairly leaning
toward forms and functions. The research on stories as a cognitive mechanism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way integrating form and
meaning. The representative stories that are highly consistent and significant
both in form and meaning are oral folktales. This paper reviewed ‘Bell Sound’
and examined its completeness of form and thematic depth, and through ‘the
Fairy and Lumberjack’, ‘Woorung Gakshi’, and ‘Gurungdungdung Shinsunbi’, it
examined how different folktales reflect human thinking and behavior in similar
or different ways. It was a process of finding out that the approach from oral
literature is essential for the in-depth analysis of the stories of folktales as a
cognitive mechanism with highly advanced systemicity and significance.
The similarity of the stories and human cognition verifies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tudy of folktales as a way of studying humans. As for the
pioneering case of studying narratives based on the similarity of humans and
literature, there ar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es on literary therapeutics.
However, they were not enough to show the narrative potential of folktales.
The researchers of oral literature with expertise and capabilities in the analysis
of narratives should step forward and start a full-scale study of folktales as a
way to study humans. That will open a new era of studying oral literatur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인지기제로서의 스토리와 인간 연구로서의 설화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