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러시아 푸틴 정부의 대한반도 정책변화요인

*EREBRYAKOVARTE*
최초 등록일
2017.03.10
최종 저작일
2017.03
11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소련 붕괴 후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라는 새로운 서구적 정치 경제 체제로 전환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에 있어 아시아 국가들은 별다른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신 국가안보전략이 추진됨에 따라 러시아는 그동안 무시되어 왔던 아시아 국가들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 국가들과 경제협력 및 외교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러시아 외교정책의 변동을 가져온 원인은 무엇일까?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기존연구 검토
제3절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러시아 동아시아 정책의 변화
제1절 옐친 시기의 동아시아 및 대 한반도 정책
제2절 푸틴의 동아시아 정책변화
1. 푸틴의 등장
2. 옐친과의 차이점
3. 러시아 외교정책에서의 동아시아의 중요성 증가
가. 국제적 요인
나. 국내적 요인

제3장 푸틴정권의 대 한반도정책
제1절 북한 핵 문제와 미사일 개발 문제에서의 러시아역할
제2절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문제
제3절 한반도 에너지 문제
제4절 한반도 통일문제

제4장 결론: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변화 원인, 러시아와 한반도 관계의 전망

본문내용

푸틴 정부의 동아시아 정책변화요인과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은 러시아의 전반적인 대외정책변화에 영향 받기 마련인데 옐친 시기의 러시아 대외정책이 유럽을 중시하는 대서양주의였다면 푸틴 시기의 유라시아주의는 동아시아에 대한 중요성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 푸틴 시대의 러시아가 체제전환의 과도기를 마무리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강대국 지위를 다시 회복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재임 동안 경제위기 극복과 법치확립을 통한 ‘강력한 러시아 건설’을 위한 작업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정국이 안정되고 경제도 오랜 침체에서 벗어났다. 푸틴 대통령은 강대국의 지위회복과 다극화된 국제질서의 구축, CIS 국가들과의 긴밀한 관계유지, 국제기구를 통한 세계평화유지 등을 주요 외교정책 목표로 설정하였다. 특히 지정학적으로 볼 때 러시아와 가까운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는 동방외교를 더욱 강화시켜왔다.
푸틴 대통령의 신 국가안보전략이 추진됨에 따라 러시아는 아시아 국가들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이들 국가들과 경제협력 및 외교적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진지한 노력을 하기 시작했다. 푸틴 대통령이 등장함에 따라 발생한 러시아 외교정책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할 때 몇 가지 원인변수를 들 수 있다. 국제원인으로는 NATO의 확대와 아시아에 대한 개입(동진(東進), 유라시아 국가들과의 협력관계 구축과 지원확보가 필수적이란 사실을 인식, 아시아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외교정책으로 전환 등이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탈냉전시대에 국제환경적인 요소보다도 국내 정치적 요소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소련 붕괴 후 러시아 내부에서 일어난 심각한 변화들은 대외정책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내의 새로운 정치 엘리트의 등장, 민주주의 안정화, 경제발전을 위한 극동의 중요성 부각, 러시아의 인구감소 등과 같은 국내변수들이 푸틴 행정부의 동아시아 전략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부각시킬 것이다.

참고 자료

강봉구. 1999.「현대 러시아 대외정책의 이해」.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2. 「옐친에서 푸틴으로: 러시아의 국가전략 변화」. 서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5. “러시아 대외정책의 기본 방향 및 성격”.『현대 러시아 정치론』, 서울: 오름
강원식. 1997.『한반도 통일과정에서 러시아의 역할』,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러시아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서울: 일신사
고재남. 2000. “푸틴 정부의 정책전망 및 한 · 러 관계”,『옐친에서 푸틴으로: 옐 친 10년의 평가와 신정부의 정책전망』. 서울: 한국슬라브학회
2005. “러시의 대(對)유럽 정책”. 『현대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서울: 한울(한울아카데미)
김경순. 1998. 『나토의 동유럽 확대와 러시아의 대응』. 서울: 세종연구소
김석환. 2004. 푸틴과 현대 러시아 - 올리가르흐(재벌), 가신 그리고 대통령. 서울: 에스엠 미디어,
박정민, 스타리치코프. 2005.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 서울: 한울
서미애. 2004. 「러시아의 동아시아 외교전략」. 서울: 늘봄
성원용. 2005. “러시아 교통체계와 TSR 활성화 전략”, 홍완석,「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 계전략」. 서울: 한울
신범식. 2001. “러시아 정치세력의 이데올로기적 분포와 가치체제”, 홍완석,「21 세기 러시아 정치와 국가전략」, 서울: 일신사
양승함. 1995. “러시아의 대통령과 의회정치”, 정한구 · 문수언 공편, 「러시아정치의 이 해」, 서울: 나남
유영철. 2005. “러시아연방의 동북아 전략 및 한반도 정책”, 유세희,「현대 러시아 정치론」. 서울: 오름
이고리 2003. 이바노프(Igor Ivanov), 이항재 옮김. 「새로운 러시아의 외교」.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이태현. 1998.「국내정치와 대외정책」, 성남: 세종연구소
정한구 · 문수언. 1995. 「러시아 정치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정은숙. 1998. “보리스 옐친의 정치적 리더십” 「주변 4강 1996~1997, 정치 엘리트의 집중분석」. 성남: 세종연구소
______· 2000. 「블라디미르 푸틴 - 권력과 리더십 6」. 서울: 인물과사상사
______· 2004. 「러시아외교안보정책의 이해」. 서울: 세종연구소
최종기. 2005. 「러시아 외교정책」.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최태강. 2004. 「러시아와 동북아」. 서울: 오름
홍완석. 2001. 「21세기 러시아정치와 국가전략」. 서울: 일신사
______· 2005.「현대 러시아 국가체제와 세계전략」. 서울: 한울(한울아카데미)
______· 2005.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 .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Kenneth Waltz. 1979. 「The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New York: McGraw-Hill
Mark Galeotti. 1995. 「The age of anxiety security and politics in Soviet Russia」. New York: Longman
고재남. 2000. “러시아 · 북한 관계의 현황과 전망”, 외교안보연구원 연구논문
김찬환. 1998.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과 한국안보.” 국방대학교 연구논문
김태우. 1999. “동아시아 평화지대’의 의의 및 전재조건”, 세종연구소 연구논문 99-7
문삼헌. 2000. “러시아 군사독트린의 형성과 전망.”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제훈. 2000.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자본주의의 발전에 관한 연구 - 푸틴의 신국가주의 노선의 전망을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논문
박종상. 1999. “러시아 연방의 국가안보 정책과 군의 역할.” 국방대학교 연구논문
서대숙. 2001. “한국과 러시아 관계: 평가와 전망.” 경남대학교 논문
송승석. 1999. “러시아의 대한방도 정책과 한국의 대러 정책방향.” 국방대학교 연구논문
심경욱. 2002. “러시아 인구위기, 그 안보상의 함의”, 주간국방논단. 서울: 국방연구원
여인곤. 2000. “러 · 북 관계 변화추이와 푸틴의 대북정책 전망.” 통일연구원 연구논문
2000.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집권 과정과 대내외 정책전망.” 통일연구원 연구논문
이동휘. 2000. “21세기 주변 4강의 전략적 이해와 우리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연구논문
정여천. 2000. “한 · 러 경제교류 10년의 평가와 러시아 경제의 미래.” 대외경제정책 연구원 연구논문
정한구. 1994. “러시아 대외정책의 전개: 국가이익의 재정립과 정책 정향”, 「정책연구 94-02」, 성남: 세종연구소
한종만. 2001. “러시아 신정부의 대 아시아 경제정책과 동북아 경제협력”. 대전: 배재대교
황기연. 2002. “러시아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고르바초프에서 푸틴까지”,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Yong-Chol Ha, Beom-Shik Shin. 2006. ”Russian Nonproliferation Policy and the Korean Peninsula". Carlisle: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Hiroshi Kimura. 2005. ”Putin's Policy Towards the Korean Peninsula: Why Has Russia Been Losing its Influence". Tokyo: Institute of World Studies, Takushoku University
강봉구. 2000. “21세기 러시아의 신 안보전략.” 국제정치논총 제40집 2호
2000. “푸틴 대통령 방중 · 방북의 배경과 의미.” 원간아태지역동향 8월호
고재남. 2000. “한국 · 러시아 관계의 현재와 미래.” 국제문제 제31권 6호
2002.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과 러 ․ 북 관계", 국방정보본부 러시아 정세 세미나
2004.「푸틴 집권 2기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한반도」.국제문제조사연구소 엮음. 국제문제 제4권 1호
국제문제연구소. 2001. “러시아의 ‘국가안보 개념’과 ‘외교정책 개념’의 분석 및 평가.” 국제문제 제32호
김덕주. 2001.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방한의 의의.” 국제문제 제32권 3호
백준기. 2001. “푸틴 정부의 현실주의 외교노선과 ‘강한국가’.” 중소연구 24권 3호
이인호. 1999. “한 · 러 관계의 현황과 전망”, 외교 제51호
이재영. 1998. “러시아의 아 · 태 전략과 APEC 가입”. 한국슬라브학회보, 제13권 2호
1999. “남북한과 러시아의 3자간 경제협력 방안”. 국제지역연구 3권 4호
한종만. 1996. “시베리아 · 극동 지역의 자연 · 인문 · 지리적 특성”. 한국 시베리아 연구, 창간호, 한국시베리아연구회
한국시베리아학회 총회. 2001. “시베리아의 오늘과 내일”, 세미나자료
Yoshinori Takeda. 2006. "Putin'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국가두마 공식사이트, http://www.duma.gov.ru/csecure/news/003.html, 2004
http://www.alexbattler.com/, http://www.olegarin.com/
러시아 Россия(RTR) 방송
НТВ (NTV) 방송
러시아 신문:
Аргументы и Факты,
Комсомольская правда,
Коммерсант-Власть,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www.newsru.com
www.dni.ru
모스크바 라디오 http://echo.msk.ru/
러시아외무부 www.mid.ru
주한 러시아대사관 홈페이지 www.russian-embassy.org
Seoul-Moscow Military Ties, Diplomacy, Vol. Ⅵ, No. 1 (1995), p. 25
Izvestia (Известия), May, 18, 2000
「중앙일보」, 1996년 11월 5일
www.newsru.com, October 1995
Обзор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mid.ru/Brp_4.nsf/arh (러시아 외무부 공식 사이트, 2007년 3월 27일) 참조.
Vasiliy Mikheev, "South-North Reconciliation and Prospects for North Korea-Russia Relations." <Asian Perspective> 25, No.2, 2001
Концепция националь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тверждена Указом Президента РФ от 17 декабря 1997 года (в редакции от 10 января 2000г.) - http://www.mid.ru/ns-osndoc.nsf/0/ (러시아 외무부 공식 사이트, 2000년 1월 10일) 참조.
"Военная доктр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тверждена Указом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утиным от 21 апреля 2000 г. - http://www.rg.ru/oficial/doc/ykazi/doc_war.htm (‘Российская Газета - 러시아신문’, 2000년 4월 21일) 참조.
"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тверждена Президент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Путиным от 10 января 2000 г. - http://www.rg.ru/oficial/doc/sng/concep.shtm (‘Россйская Газета - 러시아신문’, 2000년 1월 10일) 참조.
‘러시아연방 신 대외정책개념’(Концепц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에 관해서는 다음 러시아 외무부 공식 사이트(Дипломатический вестник, №4, апрель 2000)의 공식문서 항목을 참조.
푸틴 대통령이 발표한 ‘러시아: 동방의 새로운 전망’(Россия: новые восточные перспективы)전문 내용은 다음과 참조. Статья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В. Путина,2000.http://www.kremlin.ru/appears/2000/11/10/0000_type63382_28426.shtml 참조.
The Alliance's Strategic Concept. NATO Press Release (24 April 1999) - www.nato.int/docu/pr/1999/p99-065e.htm, 러시아어 번역본은 “Стратегическая концепция НАТО", http://www.budgetrf.ru/Publications/Magazines/VestnikSF/1999/vestniksf110-22/vestniksf110-22020.htm 참조.
Чабан В.В., Расширение НАТО на Восток: угроза не только Союзному Государству, но и всему миру., 2002년 6월. http://www.e-journal.ru/p_besop-st4-14.html 참조.
푸틴 대통령이 발표한 ‘러시아 - APEC: 협력의 넓은 전망’(Россия-АТЭС: широкие горизонты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전문 내용은 다음과 참조. Статья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В. Путина,2005년 11월 17일.
http://www.kremlin.ru/appears/2005/11/17/1213_type63382_97334.shtml 참조.
푸틴, 「러시아: 새로운 동방의 전망」, 『독립신문』(Независимая Газета), 2000년 11월.
Г. Дробот, "Внешнеполитические ориентации формирующейся российской элиты", МЭ и МО, No.9 1996.
러시아헌법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http://www.gov.ru/main/konst/konst0.html
Островский А.В., Спрогис Е.В., ред., Российский Дальний Восток и Северо-Восточная Азия: Проблемы 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Москва: Эдиториал,1998)
Цветков Николай, "Инвестиционная привлекательность нефтегаз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России", Вопросы экономики, #10(2000)
President V. Putin, "On Priorities for Russian Diplomacy", International Affairs (Moscow), Vol. 47, No. 2(2001)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и по данным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на 2006 год, http://www.gks.ru/free_doc/2006/b06_13/04-02.htm
Хрущев А.Т.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положение, территория и границы России", <Экономическая и социальная география России: Учебник для вузов>, 2-е изд. Москва: Дрофа, 2002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conomic Surveys: Russian Federation>, September 2004
BP(British Petroleum),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05
Послание Федеральному Собранию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6 мая, 2004 года - President Putin's "Address to the Federal Assembly of the Russian Federation" (Moscow, Kremlin, May 26, 2004), http://kremlin.ru/appears/2004/05/26/2003_type63372type63374_71501.shtml 참조
“러시아 2020년까지의 에너지전략“(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тратегия России на период до 2020 года),러시아산업에너지부 공식사이트,http://www.minprom.gov.ru/docs/strateg/1 참조
러 · 한 공동성명(2001년 2월 27일), "Российско-корейское совместное заявление" от 27 февраля 2001 года- http://www.spbpravo.ru/abro.php?id=3977 참조
Войцеховский, А.А.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внешеэкономических связей России со странами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 (Москва: Спутник, 2002).
Ткаченко, В.П. 「Корейский полуостров и интересы России.」. (Москва: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2000).

자료후기(2)

*EREBRYAKOVARTE*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러시아 푸틴 정부의 대한반도 정책변화요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