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방언의 움라우트 연구 - 형태소 내부를 중심으로 -
저작시기 1995.01
어도비 PDF (pdf) 22페이지 가격 5,700원
등록일 2003.07.10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인문논총 / 17권 / 3 ~ 24 페이지
ㆍ저자명 : 고동호 ( Dong Ho Ko )
ㆍ저자명 : 고동호 ( Dong Ho Ko )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and processes of the umlaut in a morpheme in the Cheju dialect. The results which is discussed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serted consonant is the greatest constraints on the umlaut. For, if there is one inserted consonant which is [+coronal], the umlaut has not occured. Second, if the inserted consonant has the feature of [-consonantal], the aspects of the umlaut are as the following scheme. (도표) Based on the above scheme, it is argued that the morphemes in which the assimilator was a diphtong in the period of the occurrence of umlaut did not experience the umlaut, and it occurred in suffixes earlier than any other sort of morphemes. And it is shown that the umlaut of u has occurred in the low rate in comparison with other vowels.판매자 정보
kiss

- 저작권
- 환불정책
본 학술논문은 한국학술정보(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