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동사 '맛다'의 의미관계분석
등록일 2003.06.28
한글 (hwp) 25페이지 가격 5,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Ⅰ. 서 론1.1. 연구목적
1.2. 선행연구 및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방법 및 내용구성
Ⅱ. 의미분석 방법의 탐색 및 ‘맞다’의 사전적 의미
2.1. 동음어와 다의어 구분
2.2. 다의성 발생원인
2.3. 의미와 의미망
2.4. ‘맞다’의 사전적 의미
Ⅲ. 우리말 동사 ‘맞다’의 다의성 구현의 실상
3.1. ‘맞다’의 의미영역
3.2. ‘영접하다’의 의미로서의 하의관계
3.3. ‘당하다■받다’의 의미로서의 하의관계
3.4. ‘적절하다’의 의미로서의 하의관계
Ⅳ. 결 론
4.1. 맺음말
4.2. 연구방향과 과제
본문내용
연구 방법은 ‘맞다’의 다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의미분석 방법을 탐색하고 ‘맞다’의 사전적 의미를 대상으로 모든 의미를 총괄할 수 있는 기본적 의미를 설정한 다음, 이것을 토대로 문학작품 속에 구현된 문맥적 의미의 용례를 조사하려고 한다.또한 이 연구에서는 문법적 문제는 다루지 않고 관용적 용법에 주목하여 특수의미 구현을 면밀히 살펴보겠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미 제Ⅰ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을 명시하고, 선행연구에 이어 본 연구가 등장되어야만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다의성 개념과 다의성 발생원인, 의미망을 밝혀 의미분석 방법을 탐색하고, ‘맞다’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 기본적 의미를 설정한 다음 이를 도표로 제시하려 한다.
제Ⅲ장에서는 문학작품의 여러 문맥 안에서 ‘맞다’가 어떻게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가 용례를 찾아 제시한다.
제Ⅳ장에서는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를 항목별로 요약 정리하고, 여기서 다루지 못한 부분과 앞으로 더 연구해 나가야 할 과제와 방향을 제시한다.
참고 자료
곽효철 1988 우리말 동사 '떼다/뜯다'의 유의성 연구, 한글문화 2집, 한글학회 전북지회김동식 1984 동사 '되다'의 연구, 국어국문학 92, 국어국문학회
김상태 1985 현대 국어 동사 '떨어지다'의 다의성 분석, 석사학위 청구논문 : 전북대학교
김선희 1984 합성동사의 의미분석, 한글 183, 서울 : 한글학회
남기심 1974 반대어 고 국어학2, 국어학회
노대규 1979 멋의 의미분석, 말4
박종석 1989 국어동사 '보다'의 의미연구, 한글문화 3집, 한글학회 전북지회
송갑석 1989 우리말 동사 '들다, 놓다'의 의미 연구, 한글문화 3집, 한글학회 전북지회
신기철·신용철 편저 1974 새 우리말 큰사전, 서울 : 삼성출판사
신현숙 1983 한 의미영역의 동사와 그 분석(Ⅰ) 한글 179, 서울 : 한글학회
판매자 정보

ssimeon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