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교육 A+] 뮤지컬 <프렌드>를 보고 (장애 관련 미디어 비평문)
저작시기 2014.07
한글 (hwp) 4페이지 가격 900원
등록일 2015.04.09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친구가 되는 과정을 그린 장애인 인식 개선 뮤지컬 <프렌드>를 보고 쓴 비평문입니다.^_____^목차
1. 줄거리 요약2. 미디어에 투영된 장애나 장애인, 특수교육에 대한 관점 기술
3. 미디어를 보고 느낀 개인의 감상
본문내용
뮤지컬 프렌드(이하 프렌드)는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친구가 되는 과정을 그린 장애인 인식 개선 뮤지컬이다. 중증장애인인 일주, 시각장애인인 현준과 경혜로 이루어진 장애인 중창단인 희망새 팀은 노래 경연 프로그램에서 결선에 진출한다. 은철, 종필, 현선으로 이루어진 대박 팀은 비장애인 팀으로, 희망새 팀과 2주간 합숙하며 함께 무대를 준비해야하지만 합숙 생활에서 편견과 불만을 가지게 된다. 여기에 레슨 과정에서 일주가 혼자 노래를 악을 쓰고 부르며 연습조차 제대로 되지 않자 은철과 종필은 심한 말을 하고 나가버리고 두 팀은 와해된다.현선은 흐느끼는 일주를 위로하며 일주의 과거 이야기를 듣고 일주를 이해하게 된다. 리더인 은철의 주도로 다시 연습을 시도하지만 일주가 악을 쓰며 노래 부르자 거친 말을 내뱉고 몸싸움 직전까지 간다. 그때 시각장애인인 종필의 엄마가 나타나고 종필은 창피해하며 어머니를 내쫓지만, 경혜로부터 어머니의 비밀을 듣고 충격을 받고 흐느낀다. 밖으로 나간 은철은 비를 흠뻑 맞고 돌아오고 경혜와 현준, 일주는 그를 밤새도록 돌본다.<중 략>
먼저 미디어 자체가 바라보는 장애인이다. 사실 프렌드의 관점은 장애인이 장애인 스스로를 보는 관점과 닮아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극의 주인공이 실제 인물이고 그의 이야기를 토대로 대본이 구성되었으며, 장애인이 비장애인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곧 극의 주제인 것에서 드러난다. 극의 본 주제는 편견을 가지지 말고 마음을 열어 친구가 되자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누구나 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 장애란 것을 가지고 싶어서 가지게 된 것이 아니라는 것, 일상생활이 불편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것에 도움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 누군가에게 힘이 될 수 있다는 것, 불편한 몸에 적응하기 위해 오랜 고통의 시간과 인내가 있었다는 것 등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판매자 정보

Allfo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