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문화에서 무용교육의 위치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10.01
1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모드니 예술
저자명 : 한혜리

목차

Ⅰ. 서 론
Ⅱ. 문화와 교육의 관계
Ⅲ. 예술 교육의 의미와 무용
Ⅳ.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무용이 교육을 통해 사회에 관여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로 ‘교육에서 무용이 무엇을 하려 하는가’에 답하려 하였다.
무용 연구는 무용 본질에 대한 연구와 무용 적용 학문 그리고 무용 관계 학문에서의 무용 연구로 분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용이 교육에 적용된 사례 연구로 무용을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무용은 예술영역과 교육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무용은 예술이며 예술로서의 무용이 교육에 적용되었을 때의 효능과 기대가 무용 교육일 것이다. 무용교육이라는 적용 학문분야 이외에 무용 연관 또는 관계 학문은 사회의 관심과 문제제기에 따라 해당 분야의 연구의 소멸과 활성이 좌우됨으로 이러한 현상 분석을 통한 반영적 접근으로의 사회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학문의 영역에서 무용의 관계학문으로 가장 역사가 깊은 체육은 신체의 기능 향상과 표현의 개발 측면에서 운동과학과 스포츠 과학의 법칙으로 무용을 탐구하는 학문 영역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방법으로 예술의 전통적인 추상 개념을 해명하는 문제에서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고 20세기 이후 무용 연구는 운동과학보다는 뇌 과학과 연관학문인 물리와 화학의 법칙으로 감각과 정서 그리고 상상력과 창의성의 개념을 해명하기 시작하였다. 존재에서 실재로 그리고 영원한 것에 대한 집착에서 현실에 대한 애정과 관심으로 철학의 방향이 전환되면서 무용의 의미 해독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무용 감상을 위해 접목하였던 정신분석학이나 심리학 그리고 무용 만들기에 관계하는 것으로 분류된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해명하려는 뇌 과학에서 무용 연구는 학문의 영역을 시작으로 무용이 사회적 담론이 되는 것에는 기여하였으나 무용연구는 심리학이나 과학과는 연구의 대상이 다르고 따라서 연구 방법을 공유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즉, 무용의 매체나 도구를 포함한 테크닉적 개선에 대해서는 비교하고 판단할 수 있으나 무용 양식의 생성은 개별자로 각각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각각의 삶이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는 것과 같으므로 예술과 철학은 연구 대상과 방법에서 유적(類的)으로 동질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적 동질성의 주장에는 예술의 정신성 혹은 정신적 참여가 전제되어 있다. 20세기 이후 무용 연구가 해명하려는 무용의 전통적인 추상개념들 - 정신, 마음, 영혼-을 탐구하면서 관계하게 된 뇌 과학은 운동과학으로 해명하지 못했던 무용에서의 감각, 정서, 상상력, 창의성의 탐구를 진척시켰고, 개인과 혹은 집단과의 소통 문제는 교육의 법칙으로 해명되고 있다. 또한, 무용과 사회가 소통하는 방법 연구에서 경제학이나, 매체학 등이 관계하게 되면서 예술 기획이나 예술경영 등 예술·문화 산업 관련 직업군에 무용도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현대 사회와 같이 경제가 어렵고, 정치가 기대를 저버리고 인간관계가 힘든 때에 발군의 힘을 내 비치는 것이 ‘자기 치유’와 ‘자기계발’이라는 것을 전제한다면 무용연구도 정신분석 혹은 심리학과 접목된 무용 치유-치료에 대한 관심의 증가하고 언어 이외에 자기 삶을 표현할 도구 개발로서 무용 체험 혹은 무용 배우기의 요구는 예견되는 현상일 것이다. 무용에 대한 이러한 요구가 무용 환경을 변화시켰고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영역은 역시 문화 산업 분야일 것이다. 하지만 무용의 적용 학문은 산업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나 예술로서 무용이 산업과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실재적으로도 모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무용이 사회와 소통하는 모든 내용과 방법을 교육의 영역으로 본다. 세분화가 전문성을 높인다는 학문적 시각에서는 교육의 광범위한 영역 규정이 연구를 비 과학적으로 보이게 하고 혹은, 추상적 결론에 그칠 것에 대한 염려를 갖게 할 수도 있지만 무용과 사회와의 관계를 소통의 측면에서 본다면 그것은 교육으로 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무용이 가진 교육적 성질을 탐색한다면 연구 주제의 본질 탐구 노선에서 벗어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주제는 문화, 교육 그리고 무용의 개념과 그 범주의 규정에 따라 연구의 영역과 방향이 달라진다. 연구의 과정에서 무용은 교육이라는 방법을 통해 사회와 관계하는 예술의 범주로 그리고 그 관계의 결과를 문화로 보았다. 현재까지 계승되어 온 문화 탐구에서 발견되는 무용의 자취에서 무용과 사회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으며 그러한 역사적 과정을 배경으로 현대 사회에서 무용의 교육적 기능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로 연구의 구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에서 중심어가 되는 교육과 문화 그리고 무용의 관계는 문화 형성의 내용으로서의 무용 그리고 방법으로서의 교육 그리고 결과로서의 문화이다. 현대 사회에서 주요 개념이 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연구는 나날이 그 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예술교육과 무용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는 다원적 시각에서 그리고 관계학문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 이후 예술사회학의 연구 방향과 방법에서 교육의 역할과 주요도가 확대되고 있어 현대 예술사회학이 보는 교육에 대한 견해가 본 주제 연구의 선행 사례가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검증이나 기능 방안 모색이 아니다. 왜냐하면 무용의 교육적 기능이나 사회적 기능에 주안점을 두는 연구가 무용의 기능 확장을 위해 ‘의미’의 문제를 허무로 환원함으로서 가져온 병폐를 주시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과 기술의 성과를 일상화하는 현대 문화가 의미에 대한 사유를 등한시 하는 문화적 허무주의에 대한 반성이기도 하다. 예술과 교육조차 실리주의와 향락주의와 타협할 수는 없다는 판단에서 조사의 결과를 통계 치수로 제시하는 사회과학적 연구나 실험 집단의 검증 결과를 제시하는 실험과학의 방법론 대신 인문학적 성찰을 선택하였다.

영어 초록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how dance is related to society through education. In this research, dance was regarded as the category of art that is related to society by means of education and the result of this relation was regarded as cultu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education, the meanings of art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osition of dance. Culture is passed down, discovered, and created through education. Education has changed from liberal education to education of adventure and discovery, and the existing culture is impossible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identity, so this research presented the mythical community and educational community, which are two different sources of culture.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 on the theme of this research that is, ‘What does the dance intend to do?’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receptive liberal education changes to active art education.

․Dance education in the modern society is to discover the latent creativity of the individuals who can create new culture beyond the scope of liberal education, which means changes in consciousness facing newness.
․Problem-solving abilities to deal with actual problems are the abilities that can be found based on integrated thoughts within the disposition of imaginations and desires, so thinking dance should be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has changed from aesthetic attitudinal education to the happiness of the individuals, and the happiness in this case is changing, growing and active process rather than what one should obtain.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he personal growth itself and this is also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Dance education should explore the depth of life and provide the opportunity to have access to daily living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문화에서 무용교육의 위치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