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예술감상
저작시기 2013.05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5,000원
등록일 2014.09.22
최종수정일 2017.06.05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원고遠古⦁선진先秦시대(약 8000년 전~기원전 221년)1) 요약
2) 느낀점
3) 질문
2. 진한秦漢⦁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기원전 221~581)
1) 요약
2) 느낀점
3) 인상깊은 점
3. 수隋⦁당唐시대(581~907)
1) 요약
2) 느낀점
3) 인상깊은 점
4. 송宋⦁원元시대(960~1268)
1) 요약
2) 느낀점
3) 질문
5. 명明⦁청淸시대(1368~1912)
1) 요약
2) 느낀점
3) 인상깊은 점
6. 민국民國시기(1912~1949)
1) 요약
2) 느낀점
3) 문제제기
7. 해방解放(1949) 이후의 음악
1) 요약
2) 느낀점
3) 인상깊은 점
본문내용
1. 원고遠古⦁선진先秦시대(약 8000년 전~기원전 221년)▪ 요약
◉ 원고 시대의 음악은 무속신앙과 관련된 종교적인 특징이 강했다.
◉ 하夏의 음악은 문헌자료 및 출토 유물이 적어 구체적인 음악양상을 알기 어렵다.
◉ 상商나라는 하나라보다 많이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특히 청동으로 만든 악기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 시기에 중요한 악기는 편종이다.
◉ 주나라는 하夏나라나 상商나라보다 기록이 훨씬 많고 중요한 이 시기에 중요한 악기는 금琴이다. 금의 존재로 인해 악기제작기술이 매우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춘추전국시대는 중국최초 전문적인 음악이론서인 『악기樂記』가 편찬되었다. 또한 춘추전국시대에는 음악 미학美學이 정립되었다.
▪ 느낀점
◉ 원고·선진시대 파트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음악미학의 정립이다. 음악에 대한 이론적인 견해가 둘로 나뉘어 유가는 음악의 기능을 사회적 기능면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묵가학파의 묵자는 통치자의 사치와 백성의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하였다. 오늘날에는 음악은 취미와 여가생활을 즐기는 모든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옛 중국에서는 반대하는 입장도 있었다는 것이 조금 놀라우면서도 당시가 신분시대였기 때문에 그런 의견이 나온것도 이해가 갔다.
▪ 질문
◉ 묵자墨子 본인은 정말 노래 듣기나 부르는 것을 싫어하였을까?
2. 진한秦漢⦁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기원전 221~581)
▪ 요약
◉ 진나라의 진시황은 최초의 통일 국가의 대업을 이룩하고 도량형과 문자를 통일 시키는 등 많은 대업을 이루었지만 분서갱유로 많은 음악적 정보 및 자료들이 불에 타 짧은 진나라의 음악자료가 부족해 중국의 음악사에는 큰 영향에 미치지 못한다.
◉ 한漢나라에는 새로운 대곡의 원형인 상화대곡, 고취악 등 음악형식과 악기가 등장하였다. 또한 중국 음악사상 가장 유명한 음악기관인 “악부樂府”가 설립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판매자 정보

mrmk11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