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의 표현 연구
등록일 2003.06.17
한글 (hwp) 6페이지 가격 7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먹의 정의와 종류2.먹의 표현 기법
3.먹의 농담 표현하기
본문내용
1. 먹의 정의와 종류소나무나 식물유를 태워 얻은 그을음 가루를 갓풀에 섞어 반죽하여 굳힌 검은 물감을 말한다. 소나무를 태워서 만든 먹을 송연목이라고 하고 식물유를 태워서 만든 묵을 유연묵이라 하는데 현재는 광물성 그을음을 사용하여 만든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천연 광물성 석묵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요즘의 흑연이다.
2. 먹의 표현 기법
1)삼묵법 : 농묵, 중묵, 담묵을 한 붓으로 처리하는 기법이다. (측필이용)
㉠ 농묵 : 짙은 먹색(가까운 곳)
㉡ 중묵 : 중간 먹색(중간 위치)
㉢ 담묵 : 옅은 먹색(먼 곳 표현)
2) 적묵법(積墨法) : 옅은 먹색을 바르고 그 위에 농도가 다른 먹색을 겹쳐 칠하는 방법.
먼저 그려진 먹물이 마른 다음 계속 먹을 중첩하여 그림으로써 중후한 느낌이 나도록 그리는 묘법이다. 북화의 정교한 그림에서 많이 활용되었다.
3) 파묵법(破墨法) : 파묵법은 당나라의 화가 왕유(王維)가 창시한 기법으로 연한 먹의 농담이나 갈필로써 형태를 그리고, 그 위에 서서히 짙은 먹을 칠하여 먼저 그린 형태를 깨면서 그림을 완성시키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산수화에서 많이 쓰이며 적묵법이 먹의 중첩에 의하여 중후한 느낌이 난다면, 파묵법은 해 맑은 윤기를 느낄 수 있다.
3. 먹의 농담 표현하기
먹의 농담은 동위(東魏)의 고사협의 제민요술(齊民要術)서 먹은 대체로 초(焦), 농(濃), 중(重), 담(淡), 청(淸)의 다섯 가지 묵색이 있다고 하였다. 먹의 색깔을 익히기에는 산수화만큼 좋은 대상이 없다.
판매자 정보

jbec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