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동북아 정책과 우리의 대응
등록일 2003.06.13
한글 (hwp) 7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서론2. 동북아의 불안 요인
3. 최근 동북아 지역 정세의 주요한 특징
4. 중국의 동북아 정세인식
5.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
6. 중국의 대동북아 정책
7.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동북아시아는 한반도의 남북한을 중심으로 중국, 러시아, 일본이 속해 있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이면서도 불안정한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한반도 주변 각 국은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거대한 국가들이다. 그러므로 이들 국가는 이 지역 내의 평화와 안정을 위하여 큰 역할을 해 온 미국을 포함한다면 이 지역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동북아시아 각 국의 공통 관심사는 지역 내의 평화와 안정의 유지이며, 중국·일본·러시아는 물론 북한조차도 공식적으로는 적대적인 국가들로부터의 군사적 위협의 해소를 추구하고 있다.특히, 냉전종식 이후 동북아의 안보·전략환경에는 두 개의 혁명적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 변화는 첫째, 소련의 붕괴로 인한 세력균형 또는 강대국 대결구조의 근본적 변화에서 야기되는 불확실성의 증대와 둘째, 역동적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한 세계경제의 중심지로의 부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질서의 새로운 재편을 가속화하며, 전환시의 동북아 정세는 한국외교에 도전과 동시에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참고 자료
손종국, 유영옥 공저 , 동북아론, 학문사, 1997http://www.unikorea21.net/tongsrc/situation/sub1.asp
http://www.uniedu.go.kr/dataroom/book_b_2002_tongil/tongil_03.html
판매자 정보

ivy10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