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원론] 광고분석
등록일 2003.06.11
한글 (hwp) 10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힘들게 올리는 자료이니만큼 많이 이용해 주세요~후회 안하실거예요^^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이용한 광고
ⅰ. 동양오븐가스레인지
ⅱ. 디오스 냉장고
2. CREATIVE광고
ⅰ. 컴퓨터 광고
ⅱ. 이동통신 광고
3. 기업이미지 광고
i. 유한킴벌리
ⅱ. 포스코
Ⅲ. 결론
1. 표현방식의 차이
2. 설득력의 차이
3. 고질적 병폐인 표절
본문내용
광고의 목적은 세가지가 있다. 상품의 인지도(awareness)향상, 구매패턴의 변화유도, 기업의 이미지 향상이다. 좋은 광고의 여건에는 첫째가 전략(strategy ; determined target audience)을 세우은 것이다. 소비자의 욕구 충족과 정상적인 이윤창출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다. 그 세부 사항으로는 Target market, Marketing concept, marketing mix(4P)- Marketing의 4P : Place, Price, Product, Promotion, Advertisement strategy 이 있다. 두 번째는 창조성(creativity ; Big idea)으로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는 실행능력(execution)이다.광고의 종류에는 네가지가 있다.첫째는 Brand Ad.(National Ad.)로서 브랜드의 이미지나 선호도 향상을 기대한다. 둘째, Retail Ad. 로서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 세 번째는 Political Ad. 로서 유권자의 지지 및 권력 획득을 위한 홍보가 주이다. 네번째는 Directory Ad. 로서 업종별 범주를 구분한 집단광고 이다. 다섯 번째는 Direct-Response Ad. 로써 직접적인 판매를 위한 광고이다.
광고의 역할에은 Marketing Role 즉 제품 판매를 위한 홍보, Communication Role- 일반적인 기능 설명을 넘어선 새로운 이미지 창출, Economic Role-광고를 통해 대량 생산을 유도 "양질의 상품을, 싼 가격에", Society Role-'소비중심주의' 조장(부정적인 역할)이 있다.
광고의 기능에는 직접적 행동으로 빠른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소비욕구자극하기, 간접적 행동으로서 장시간에 걸쳐 수요자의 잠재적인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 있다. brand loyalty (브랜드 충성도)는 수요자가 브랜드에 대해 갖는 신뢰도이다.
광고에서의 윤리와 규제는 중요한 사항이다. 먼저 윤리적 문제의 발생이다. 광고는 소비자 설득의 과정이므로, 객관적이거나 중립적이지 않다. 또 광고는 흥미나 인지도 향상을 위해 때로 사실성이 배제될 가능성이 있다. 광고는 불필요한 재화의 소비를 조장할 수 있다.
광고에서의 윤리적 이슈가 있다. 과장광고의 문제가 발생하나,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다. 광고를 받아들이는 계층의 취향에 따라 판단기준이 다르다. 광고이미지가 현실에서의 편견을 조장할 수 있다. 담배나 주류 등 인체에 무해한 상품의 허용수준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판매자 정보

swampu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