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충돌
등록일 2003.06.04
한글 (hwp) 10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제 1 장. 현대 한국사학은 사료·자료도 제대로 읽지 않았다.제 2 장 시대구분을 새롭게 하여 통설과 <국사>의 구조를 바꾸어야한다.
제3장 초기국가 형성에 대한 통설과 <국사>문제
제4장 통치구조와 정치 활동에 대한 통설과 <국사>의 문제
제 5 장. 고대의 경제에 대한 통설과 <국사>의 문제
제 6 장 고대의 사회구조와 사회생활에 대한 통설과 <국사>의 문제
제 7장 고대의 문화에 대한 통설과 <국사>의 문제
제 8 장 현대 한국사학의 민족만들기, 역사만들기의 왜곡된 유산들
본문내용
제 1 장. 현대 한국사학은 사료·자료도 제대로 읽지 않았다.새로운 역사는 기존 견해가 아닌 사료·자료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그런데 통설과 <국사>를 보면 우리에게 주어진 자료를 왜곡해서 해석하여 일그러진 역사상을 만든 것들이 보인다. 예를 들어 천군이 소도의 의례를 주관하였다는 주장은 현대 역사가들의 왜곡된 역사 읽기다. <삼국지> 한조의 기록에 의하면 아무런 관련이 없는 천군과 소도는 이병도, 변태섭, 이기백의 주장에 의해 하나의 국민적 상식으로 만들어졌다.
<삼국지> 한조는 그 편찬 시기가 오래되었고 당대의 사정을 잘 기록한 것으로 인정되어 사료로서의 신빙성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온 반면 <삼국사기>는 1145년에 편찬되었기에 <삼국지> 한조에 비해 사료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해 왔다. 따라서 <삼국지> 한조와 <삼국사기>가 겹치는 시기에 대한 역사를 다루는 데에는 <삼국지> 한조를 결정적인 사서로 인정하고 <삼국사기> 기록은 믿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삼국지> 한조는 중화주의 관점에서 동이족의 한 집단으로서의 한에 대하여 민속지적인 기록을 남겼을 뿐이다. <삼국사기> 편찬의 한 이유가 중국 정사 열전의 소략함 때문이었던 것도 이 때문이다.
판매자 정보

sj1215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