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 부산남구지역 조사
등록일 2003.05.17
한글 (hwp) 14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부산 남구지역을 조사한 자료입니다.목차
1. 개요2. 연혁
3. 상징
4. 지리적 특성
5. 지명 유래
1) 대연동 2) 용호동 3) 용당동 4) 감만동 5) 우암동 6) 문현동
6. 역사 문화자원
1)역사적 사건과 현장 2)역사적 인물 3)국가 지정 문화재(국보) 4)시지정 기념물
7. 생활문화자원
1)전통생활민속 2)주민의 생활권역 3)지역의 별미음식 4)가구거리와 곱창골목
8. 예술문화자원
1)지역문화예술행사
9. 남구의 관광자원
1)오륙도 2)이기대 3)부산 문화회관 4)부산박물관5) UN 기념공원 6)신선대 7)부산항과 부두 8)동명불원
본문내용
1. 개요부산의 동남쪽에 위치한 남구는 동북쪽으로는 대남로를 경계로 수영구, 서쪽으로는 동천을 경계로 동구, 서북쪽은 황령산을 경계로 부산진구와 접하고 있으며 남쪽은 부산만, 동쪽은 수영만으로 바다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구지역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었다가 이후 거칠산국에 속하게 되었으며 삼국시대에는 신라의 영토로 대증현(大甑懸)에 속하였고 통일신라 경덕왕 때에 대증현은 동평현(東平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려 초기인 현종 9년에 동평현이 양주군의 속현이 되었다가 조선 초기에는 동래진에, 조선 후기에는 동래부의 동면과 남촌면에 소속되었다. 그 후 일제 때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동래군의 서하면과 용주면에 소속되고 1936년 4월 용주면과 남면 일부가 부산부로 편입되면서 신설된 부산진출장소(대연, 용호, 용당, 우암, 감만동 등 관할)로 되었다가 1942년 10월 동래군의 수영과 해운대 일부가 부산부에 편입되어 수영출장소(현 수영구)가 설치되었고, 정부수립 후인 1949년 8월 시제(市制) 실시로 부산시에 속하였으며 1953년 9월 대연출장소 소속으로 바뀌었다가 1957년 1월 구제(區制)의 실시 때 부산진구 대연출장소와 동래구 수영출장소로 되었다가 1973년 3월 2개의 출장소가 합해져 시 직할 대연출장소로 승격되고 1975년 10월 1일 남구로 승격하여 18개동을 관할하게 되었으며, 1988년 5월에 전국 자치제 실시로 자치구가 되어 30개동을 관할하였으며 1995년 3월 구역개편으로 남구의 일부가 수영구(광안, 망미, 민락 등 10개동)로 분리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판매자 정보

chunides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