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법. 상법.M&A] 적대적 M&A 기법 및 방어 대책
등록일 2003.05.16
한글 (hwp) 14페이지 가격 3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적대적 M&A의 공격 및 방어전략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고..각 종류별 사례를 통해 살펴본 레포트입니다.
목차
【적대적 M&A의 정의】【적대적 M&A 기법 및 방어 대책】
▷▶ 적대적 M&A공격 전략
1. 주식매집전략
2. 공개매수
☞ 공개매수 전략 사례
①동방페레그린증권
②IBM 대 LOTUS
3. 위임장 대결(proxy fight)
☞ 위임장 대결의 사례 - 동부그룹 VS 한농의 위임장 경쟁
▷▶적대적 M&A 방어전략
1. 예방적 방어행위 (Preventive Antitakeover Defenses)
☞ 독약계획(제2세대 독약계획: 플립-오버 권리)의 사례
☞ 황금낙하산의 사례 - Borden사의 people pill
☞ 불가침협정(standstill agreement) 사례 - Revlon사 VS Gillete사
2. 적극적 방어행위 (Active Antitakeover Defenses)
☞ 역매수 전략의 사례 - E-II Holdings VS American Brands 사
☞ 차입자본 재구축의 사례 - Santa Fe 사 VS Henley group
☞ 백기사 전략사례
☞ 화이트 스콰이어 사례 - Pantry Pride 사 VS Revlon 사
☞ 사모CB의 발행 사례 - 한화종금의 사모 CB
☞ 자사주 매입의 사례 - unocal 사
☞ 그린메일 사례 - 기업사냥꾼 Carl Ichan
☞ 우리사조조합의 사례 - Polaroid 사 VS Shamrock Holdings Inc.
본문내용
【적대적 M&A의 정의】M&A는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성격에 따라 우호적 M&A와 적대적 M&A로 분류된다.
여기서 적대적 M&A(hostile takeover)란, 매수자와 피매수기업 간의 합의로 이루어지는 우호적 M&A(friendly takeover)와는 달리 피매수측의 의사에 反하여 이루어지는 M&A를 말한다.
【적대적 M&A 기법 및 방어 대책】
국내에서는 그 동안 부도덕한 행위로 인식됐고, 제도적으로도 규제를 받아 적대적 M&A 사례는 드문 편이다. 개도국의 성격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점도 하나의 원인이었다. 정부가 침체된 증시를 살리고, 지배구조 개선과 부실기업 대주주의 전황을 막기 위해 적대적 M&A를 전면 허용하면서 적대적 M&A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적대적 M&A의 공격전략과 방어전략을 살펴보자.
판매자 정보

index99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