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
등록일 2003.05.06
한글 (hwp) 8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Ⅰ. 서 론II. 본 론
1. 광장
1) 혼란의 시대를 사는 사람
2) 광장과 밀실
3) 푸른 광장
4) 사랑인가? 이데올로기인가?
5) 「광장」의 해
2. 광장의 문학사적 의의
1) 분단문학으로서의 광장
2) 4·19와 『광장』
Ⅲ. 결론
본문내용
작가 최인훈은 젊은 나이에 이미 「웃음소리」와 「나울」을 비롯하여 『광장』과 『회색인』등과 같은 기념비적 작품을 써서 우리 문학사에 하나의 큰 산맥을 이루어 '전후 최대의 작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많은 작품 중에 나는 여기서 「광장」이라는 소설을 가지고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현재의 한국에서는 누구도 손에 최인훈의 「광장」을 들고 다니지는 않을 지 모른다. 그러나 최인훈의 「광장」은 매일 손에 들고 다니며 종이가 닳도록 읽지는 않더라도, 책장에 한 권쯤 소장할 필요가 있는 책이다. 「광장」이라는 책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 더 이상 이데올로기가 삶의 목적이 아닌, 개인화 되고 파편화된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마음속 깊은 공감을 얻기는 어려울지 몰라도, 이 책이 한국 소설사에서 60년대라는 한 시대의 급소를 찌른 작품이라는 것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김현은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1960년은 학생들의 해이었지만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그것은 「광장」의 해이었다고 할 수 있다'고까지 평가했다.참고 자료
참고문헌·「광장」(최인훈, 문학과지성사, 1976)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김우종 외 30인, 현대문학, 현대문
학, 1994)
·한국소설사 (김윤식, 정호웅, 문학동네, 2000)
·우리 시대의 소설, 우리 시대의 작가 (강진호외, 계몽사,
1997)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강석주, 시공사, 2000)
·최인훈 -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이태동, 서강대학교 출판
부, 1999)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김욱동, 문학과 지성사,
1996)
·문학과 사회 (1996, 가을호)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최인훈 이태동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9)
판매자 정보

jsjoe5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