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촌강 전투
등록일 2003.04.16
한글 (hwp) 4페이지 가격 7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없음본문내용
나당연합군의 기벌포 상륙작전후 백제는 실로 어이없게 도성을 함락당한다. 그러나 의자왕과 대신들의 항복으로 백제가 역사에서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곧바로 전국적인 부흥운동이 일어난 것이다. 나당연합군의 기습에 의한 도성의 함락과 부여씨 왕족의 몰락은 모든 백제인들을 놀라게 하였고 무력감에 빠지게 하였으나 사비성과 웅진성에서의 나당연합군의 살육 과 약탈의 만행에 놀라 정신을 차린 백제인들은 각 지방의 토호인 성주들을 중심으로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그리하여 오래지않아 나당연합군은 사비성과 웅진성만을 의지한채 백제의 전국토는 부흥군의 세력안에 들어가게 되어 도리어 나당연합군이 웅진과 사비성에 포위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부흥운동이 이렇듯 쉽게 부흥운동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요인은 나당연합군의 기습작전으로 사비성과 웅진성 지역 일부는 함락되었지만 이들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백제 성곽들이 건재한 상태였다는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판매자 정보

slhhwa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