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성에 숨겨진 과학
등록일 2003.03.29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수원성에 관한 과학적 측면에서 살펴본 리포트입니다..목차
벽돌의 사용치성과 포루의 사용
공심돈
거중기와 새로운 기구들의 사용
공사과정의 과학적 기법
최초의 계획도시
본문내용
공심돈-수원성을 가장 인상깊게 만들고 수원성축조를 주도한 18세기 지식인들의 정신세계를 가장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건물이 공심돈이다. 공심돈은 우리나라에서는 수원성에서 유일무이하게 사용되었다.이 건물은 외국의 새로운 문물에 대한 강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이제까지 없었던 새로운 구조물을 주저없이 실제로 조성하고자 한 적극적인 창조정신의 구현물이다.공심돈은 성곽에서 멀리 떨어진 요충지에 독립된 망루로 설치한 돈을 발전시킨 것으로 돈대의 내부를 개조해서 주변을 살피고 적의 공격을 맞아서는 응전할수있도록 꾸며진 것이다. 수원성에는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동북공심돈 이렇게 세 개가 만들어졌는데 그중에서 가장 모습이 독트가고 돈대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린 것이 동북공심돈이다. 동북공심돈은 동문의 북쪽, 성의 동편 가장 높은 언덕위에 자리잡았다. 그리고 이공심돈은 성벽에 따로 치성을 돌출시킨 것이 아니고 성벽안쪽에 성벽과 약간 떨어져서 따로 하나의 돈대를 높이 쌓았다. 따라서 돈후의 형태에 가장 가까운 구조인 셈이다. 동북공심돈은 평면형태가 원형인 점이 가장 특징적이다.수원성의 수많은 시설가운데 평면이 둥근 것은 동북공심돈이 유일하다. 이건물은 둥근 외관과 내부의 나선식 계단으로 해서 소라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판매자 정보

ldb83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