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의 미학과 기능] 통사론
등록일 2003.01.15
한글 (hwp) 5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통사론이란2. 관할과 구성성분
3. 구성성분 검증법
4. 구절구조 규칙
5. 어휘 삽입 규칙
6. 심층구조와 표면구조
7. 변형규칙의 필요성
8. 변형규칙의 종류
본문내용
1. 통사론이란- 구나 문장의 구조를 밝히는 것2. 관할과 구성성분
문장이나 구는 보다 작은 문법단위가 모여 보다 큰 문법단위가 된 대표적인 예들이다. 이때 보다 더 큰 문법 단위를 구성체라 하고 구성체를 이루고 있는 작은 단위들을 구성성분이라 한다. 그리고 어떤 구성체를 직접 이루고 있는 구성성분을 직접구성성분이라고 한다.
한 문장의 의미는 그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형태소들의 의미해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형태소들이 문장 내에서 아무렇게나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한 문장 내에 나타나는 형태소들의 배열순서를 그 문장의 선형구조라고 부른다. 그러나 겉으로 보기에는 형태소들이 문장 속에서 선적으로만 연결되어 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계층적 무리를 이루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문장 속의 형태소들은 개별적으로 결합하여 문장을 직접 구성하는 것이 아니고 몇 개씩 결합하여 더 큰 구성성분을 형성하며, 결국에는 이들이 합쳐서 문장이 된다. 문장의 계층구조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 수형도를 쓴다.
3. 구성성분 검증법
문장에 있어 주어진 단어의 집합이 성분이 되는지 안 되는지 그리고 만약 그렇다면 어떤 유형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주관적 직관이 아닌 객관적 검증방법인 구성성분 검증법을 사용한다.
참고 자료
「개정판 언어학 개론」-남기심, 이정민, 이홍배「언어학 개론」-오주영, 박종갑
「언어학 개론」-박명수, 김동석 외 공저
「개정신판 변형문법」-앤드루 래드포드. 서정목, 이광호, 임홍빈 역
「언어의 미학과 기능」-김정대, 김정우 편저
판매자 정보

smilemir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