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춘풍의처
등록일 2003.01.15
한글 (hwp) 7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춘풍의 처1. '춘풍의 처' 작가 소개
2. 이 작품의 바탕이 되는 '이춘풍전'
3. '춘풍의 처'를 연출자의 입장에서 봤을때.
4. 대사와 상황에서 볼 수 있는 것들.
5. 인물들의 성격과 각 인물들이 이 작품에 끼치는 영향
6. 마당극, 놀이극, 변신극, 제의극으로서의 '춘풍의 처'
본문내용
춘풍의 처가 수시로 장면에 끼어들고 혹은 타인을 휘둘러치며 극적인 아이러니를 극대화 시키는데 마지막에 춘풍이 아내를 추월로 착시하고 격정적인 성희롱을 벌리다가, 처가 춘풍을 아이처럼 낳는 장면에서 죽은 자식들이 옥리노릇을 하다 상두꾼으로 변하고 또 추월은 진오귀굿을 하는 무녀가 된다. . 아이러니가 극을 낳고, 극은 다시 아이러니로 이어진다. 이것은 극적 아이러니가 극대화 되어 나타나는 부분이다.'춘풍의 처'에서 언어는 대사의 기능을 뛰어 넘어 플롯의 역할을 감당하면서 연극을 진행하는 주축이 되고 있다. 언어가 연극의 기본 틀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언어를 통해 연극의 분위기 창조와 플롯의 역할을 하면서 작품의 호흡을 조절하게끔 하면서 주제의 전달까지 도맡아 하도록 꾸며져 있다. 한국인의 어느 부분만을 대변하는 언어가 아니라, 한국의 서민적인 정서가 전체적으로 말 속에서 물씬 풍겨 나오도록 하는 서민적인 언어이다. 대사 속에서 풍겨 나오는 유머와 풍자, 서슴지 않고 내뱉는 쌍스러운 욕에서 나오는 한국적인 투박한 인정과 정서가 모두 스며있음을 알 수 있다.
판매자 정보

mymio1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