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우부가 이본고찰
등록일 2002.12.27
한글 (hwp) 12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제가 직접 이본을 분석하고나름대로 창조적으로 만든 논문이예요.
짜깁기가 아니라 나름대로 작품 분석하느라고 너무 힘들었던 과정이 기억이 나네요.
많은 도움이 되길 빌어요.
목차
Ⅰ. 서 론1. 연구방법
2. 이본 및 수록문헌 소개
Ⅱ. 악부소재 <우부가>와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의 비교
1. 형식
2. 내용
3. 주제
Ⅲ. 악부소재 <우부가>외『역대가사문학전집』소재 이본간 비교 - 악지, 초당문답가, 발편, 오륜가
Ⅳ.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악부소재 <우부가>와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는 형식에서 다 같이 4.4조가 주를 이루는 4음보의 연속체로 나타나있다. 19세기 조선후기의 가사의 형식적인 패턴이 그러한 것처럼 율조항이 정제되어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3.4조도 간혹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악부소재 <우부가>와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 모두 공통되는 사항이다. 역대가사문학선집에 나와있는 악부소재 <우부가>와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의 이본을 대본으로 형식적인 면에서의 차이를 논하자면, 우선 분량의 차이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악부소재 <우부가>에 비해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에는 20개의 구가 더 첨가되어 있다. 악부소재 <우부가>가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에 비해서 짧고 간략한 편이라는 것이데, 이는 아무래도 악부라는 가집의 특수성에 의한 것이 아닌가 한다. 악부는 노래집이다. 따라서 <우부가>가 노래로 불렸음을 감안한다면. 형식적인 면에서는 그 가사의 길이가 짧을수록 전파력이 강하고 외우기도 용이했을 것이다. 또한 구의 배열에 있어서도 악부소재 <우부가>의 경우, 4.4조의 형식을 한눈에 간파할 수 없게 문장처럼 서술되어 있다. 마치 산문처럼 줄글로 이어서 기사한 형식인 줄글체형식을 취하고 있다. 반면 초당문답가소재 <우부가>는 두 마디가 한덩이씩 짝이 되게 기사한 귀글체형식을 취하고있다.참고 자료
박성의, '악부연구' 고려대 60주년 기념논문집, 1955년정재호, '愚夫歌考' 고려대어문논집, 1977.
정재호, 『초당문답가』, 박이정, 1996.
이동준, '愚夫歌'연구, 계명대대학원석사논문, 1993.
송재소,'이조 후기 가사의 한 특징'.『백영정병욱선생 회갑기념논총』, 신구문화사, 1982.
김대행, '<愚夫歌>의 주제와 시대성 논의 반성, 『시가시학연구』, 1991. 이대출판부.
강명관, '우부가연구',『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판매자 정보

jerry051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