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 통일신라시대의 토기
등록일 2002.12.24
한글 (hwp) 3페이지 가격 1,0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좋은 점수를 받은 레포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목차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전반적인 변화◎ 통일신라신대의 토기는 몇가지 성격으로 구분된다.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형식을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통일신라시대의 생활용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전반적인 변화6세기 중엽이후 (진흥왕대)에 고구려, 백제의 돌방무덤이 경주에 들어오면서 토기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다. 즉 짧은 다리에 넓은 굽이 달려 있고 네모, 마름모꼴의 작은 굽구멍이 뚫린 굽다리접시와 뚜껑사발(유개합 有蓋盒)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일신라토기의 가장 큰 특징은 도장무늬이다. 그릇에 도장무늬를 찍는 것은 신라시대부터 나타나지만, 통일신라시대에는 도장무늬만으로 그릇의 표면을 장식한다.또 다른 특징은 굽다리가 낮아지는 것이다. 신라, 가야토기의 구멍 뚫린 높은 굽다리는 진흥왕 때부터 낮아지기 시작하고 굽다리의 구멍도 작아진다.그리고 그릇의 표면에 녹색 유약을 바르는 녹유(연유)토기도 만들어진다. 이러한 토기들을 통일신라의 토기와 구분하여 통일양식의 토기라고 부른다. 이시기에 있어서의 토기는 고신라 토기의 태토나 소성방법이 같으나 기형과 문양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태토라는 것은 토기를 빚을 때 원료가 되는 흙을 말한다. 질그릇이나 도자기의 밑감이 되는 흙이다. 토기의 기대나 이형토기 등이 없어지며 또한 고배·장경호 등의 받침이 짧아지는 형태로 변하고 있고 뚜껑 꼭지에 있어서도 보주형의 꼭지가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고배라는 것은 굽다리 접시로 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잔으로 잔에 뚜껑 받이가 있는 형시과 없는 형식이 있다. 신라, 가야 고분에서 주로 출토된다. 장경호는 긴목 항아리, 긴목 단지라고도 한다.
참고 자료
한국사 9 - 통일신라시대판매자 정보

aegis13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