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차문화
등록일 2002.12.10
한글 (hwp) 7페이지 가격 8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 들어가며2. 차의 기원
3. 차의 변천
4. 차의 종류
1) 녹차
2) 홍차
3) 흑차
4) 백차
5) 황차
6) 우롱차(오룡차-烏龍茶)
4. 중국의 차 문화
※ 참고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중국 속담에 “아침에 차(茶)를 마시면 하루종일 위풍당당하고, 정오에 차를 마시면 일하는 것이 즐겁고, 저녁에 차를 마시면 정신이 들고 피로가 가신다”라는 말이 있다. 속담이라는 것이 고전(古典)이나 고사(故事)에서부터 나온 이야기라는 것을 생각했을 때 오래 전부터 중국인의 일상생활에서 빠뜨릴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음료가 차임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전설 상에는 중국의 신농이 처음 차 잎을 씹어 독초의 독을 해독하면서 차를 먹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차나무는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보아 약 5천년 전부터 음용 되었다고 추측된다. 남겨진 기록을 살펴보면 B.C 200년 전 주공단(周公旦)의 이아, 석목편(爾雅. 釋木篇)에 가장 오래된 기록이 있고 사기(史記)에 의하면 B.C 1066년 서주(西周)의 파촉지방에서 차의 재배가 행해졌으며, 춘추전국 시대에는 한족과 소수민족에 의해 본격적인 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중국인의 삶과 함께 오랜 역사를 이어져 내려온 중국의 차, 그리고 중국의 다도는 한국 일본 등에 전파되었고 티벳을 거쳐 서양으로 전해지기 시작하였고 현재 동양과 서양, 더 구체적으로는 각 국의 독특한 다도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 자료
▲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락원, 공상철· 권석환· 이경원·이창호·정진강 공저>
▲ http://www.anseo.dankook.ac.kr
▲ http://members.tripod.lycos.co.kr/
▲ http://myhome.naver.com/mugam20/
▲ http://myhome.naver.com/niwiht/
▲ http://www.tealand.net/
▲ http://www.finetea.co.kr/
▲ http://www.damiwon.com/
판매자 정보

tjelf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