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문학] 인도네시아 문학사
등록일 2002.12.08
한글 (hwp) 13페이지 가격 600원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목차
1930년대 인도네시아 문학1.시대적 배경
2.동인지 "뿌장가 바루"
1)"뿌장가 바루" 설립 배경
2)"뿌장가 바루"의 창간 목적과 그 의미
3)"뿌장가 바루"문학의 특징
▶ 민족주의
▶삶의 속삭임
▶황혼
▶물질주의(Materialisme)
▶Intelektualisme(이성주의)
4)Prosa pujangga baru ( pujangga baru 시대의 산문 )
<Balai pustaka 와 Pujangga baru 문학 작품의 비교>
5)뿌장가 바루 시대의 연극
▶나 홀로 서서
▶조용한 나의 영혼(Jiwaku Menyepi-nyepi)
▶논(Sawah)
3.현대소설의 전개
4.근대시의 출범
<수딴 딱딜 알리샤바나>
▶바다로
<사누시 빠네>
<아밀 함쟈>
<따뗑껭>
<그외 시인>
1930년대 인도네시아 문학
본문내용
※특징⇒Poedjangga Baroe문학시대=순수문학시대1.시대적 배경
1928년 10월 28일 '청년의 맹세'가 선포된 이래 독립에 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면서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정치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0년대 인도네시아 문학은 그 전시대부터 출판되어 오던 잡지 <Sri poestaka 1919~1940>와 <Pandji Poestaka 1919~1942>가 각각 단편시를 실어 문예지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으나 1930년대 들어와서 많은 문인들이 문학, 문화 전문지의 출현을 기대하고 있었다.
1930년에는 <Timboel>이라는 잡지가 화란어로 출판되었으나, 1932년 사누시 빠네가 편집인으로 자리하면서 인도네시아어로 펴내게 되었다. 1933년에 수딴 딱딜 알리샤바나는 <Poedjangga Baroe 1933~1942, 1949~1953>문학지를 출판하기에 이른다.
2.동인지 "뿌장가 바루"
1)"뿌장가 바루" 설립 배경
30년대 이전에 이미 발라이 뿌스따까는 네덜란드의 통치아래 인도네시아 문학과 모든 문화를 알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발라이 뿌스따까는 인도네시아 민족들이 그들 스스로의 문학작품을 통해 민족을 계몽시키고, 부흥시키려는 노력을 방해하였다.
판매자 정보

spinky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