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생리학 실험보고서] c-clamp이용한 세포전위변화
저작시기 2011.05
MS 워드 (docx) 13페이지 가격 1,500원
등록일 2012.07.06

다운로드
장바구니관심자료
소개글
C-clamp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류(current)를 세포에 주었을 때 전위(voltage)의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입니다.목차
1. Abstract2. Introduction
3. Materials and Methods
4. Result
5. Discussion
6. References
본문내용
Abstract이번 실험은 컴퓨터 프로그램인 C-clamp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류(current)를 세포에 주었을 때 전위(voltage)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실험은 휴지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와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를 관찰하는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먼저 휴지막 전위 관찰에서는 외부 K+ 농도변화와 K+ 투과성 변화 실험으로써 휴지막 전위에 대해서는 다른 이온들 보다 K+의 투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활동전위 관찰에서는 외부 Na+, K+ 농도 변화 실험을 통해 활동전위에는 Na+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K+은재분극이 일어나는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Introduction
신경세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록, 뉴런이 전기의 좋은 전도체는 아니지만 세포막을 경계로 한 이온의 흐름을 통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보통, 뉴런은 Intracellular recording 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지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라는 음성 전위를 형성한다.
<중 략>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컴퓨터 프로그램인 C-clamp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류(current)를 세포에 주었을 때 전위(voltage)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휴지막 전위 관찰에서는 외부 K+ 농도변화와 K+ 투과성 변화 실험으로써 휴지막 전위에 대해서는 다른 이온들 보다 K+의 투과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활동전위 관찰에서는 외부 Na+, K+ 농도 변화 실험을 통해 활동전위에는 Na+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K+은재분극이 일어나는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자료
Dale Purves 외 5인, Neuroscience, 1997,Sinauer, pp36~50Gordon M. Shepherd, Neurobiology 3rd ed., 1994, Oxford, pp64~101
Dee Unglaub Silverthorn, Human Physiology 4th ed., 2007, Pearson education, pp243~290
판매자 정보

imp1230

- 저작권
- 환불정책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자료에 대해 궁금한 점을 판매자에게 직접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상업성 광고글, 욕설, 비방글, 내용 없는 글 등은 운영 방침에 따라 예고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구매한 본인의 구매정보도 함께 표시됩니다.
2. 매시 정각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02:00 ~ 21:00)
3. 구매자의 학교정보가 없는 경우 기타로 표시됩니다.
4. 지식포인트 보유 시 지식포인트가 차감되며
미보유 시 아이디당 1일 3회만 제공됩니다.